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tatar-cn:4_ss:46_val:46_val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1) 동사의 태- 동사의 태는 능동태, 피동-재귀태, 상호태, 사동태 네 종류로 세분할 수 있다.

  • 능동태는 무표적이다.

1) 피동-재귀태

  • 동사 어간에 -n/-ən/-ɨn 혹은 -l/-əl/-ɨl를 붙임으로써 피동-재귀태를 형성한다.
  • -n와 -l는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고, 나머지는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ɑldɑ-: 속다 + -n:PASS.REFL → ɑldɑn-:속다/사기당하다

qɑq-: 두드리다/치다 + -ən:PASS.REFL → qɑʁən-: 날개를 치다(즉 자기가 날개로 자기를 치다)

kij-:입다 + -ɨn:PASS.REFL → kijɨn-: 자신에게 옷을 입히다

sənɑ-: 실험하다 + -l:PASS.REFL → sənɑl-: 시련을 당하다

재귀태와 피동태를 구분하는 방법
  • 재귀태인지 피동태인지 문장에서 구분된다.
tata1255 chenzongzhen2008:563
olmin-ɨmsyz-ɨm-nɨiʃɨt-kɛtʃburəl-ə-pqɑjt-tə.
3SG1SG-1SG.POSSword-1SG.POSS-ACClisten-CVBthenturn.round-REFL-CVBgo.back-PST
그는 내 말을 듣자마자 바로 고개를 돌리고 돌아갔다.
tata1255 chenzongzhen2008:563
ʃulbɑʃjɑwləqɛllɛqɑjtʃɑnsɑt-əl-də.
thatheadscarfalreadysell-REFL-PST
그 헤드 스카프가 이미 팔렸다.

####2) 상호-공동(共同)태

  • 동작의 주체(복수)가 공동으로 어떠한 동작을 진행하거나 서로에게 어떠한 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 동작의 주체가 행동주이자 수여자이다.
  • 상호-공동태는 동사 어간 뒤에 -ʃ/-əʃ/-ɨʃ를 붙음으로써 나타난다.
  • -əʃ와 -ɨʃ는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는다.

utʃrɑ-: 만나다 + -ʃ:RECP → utʃrɑʃ-: 서로를 만나다.

sʃyjlɛ-: 말하다 + -ʃ:RECP → sʃyjlɛʃ-: 서로 교류하다

oz-:초과하다 + -əʃ:RECP → ozəʃ-: 서로 경기하다

kil-: 오다 + -ɨʃ:RECP → kilɨʃ: 화해하다/(서로에) 적응하다

tata1255 chenzongzhen2008:564
ɑn-dɑnsoŋɑlɑrekɨsɨkil-ɨʃ-tɨ.
that-ABLafter3PLtwocome-RECP-PST
그 이후로 그들은 화해했다.

3) 사동태

  • 사동태를 형성하는 사동 표지는 다음과 같이 있다.
① 사동 표지 -t가 모음 또는 r, j로 끝나는 동사의 어간 뒤에 붙는다.

tɑnə-: 알다 + -t: CAUS → tɑnət-:소개하다(알게 하다)

② 사동 표지 -dər/-tər/-dɨr/-tɨr는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뒤에 붙는다.

əʃɑn-: 믿다 + -dər:CAUS → əʃɑndər-:믿게 하다

kep-: 마르다 + -tɨr:CAUS → keptɨr-:말리다

øs-: 성장하다 + -tɨr:CAUS → østɨr: 성장하게 하다, 양육하다, 키우다

③ 사동 표지 -ɑr/-ər/-ɨr는 무성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 뒤에 붙는다.

tʃəq-: 나오다 + -ɑr:CAUS → tʃəʁɑr-: 나오게 하다

qɑtʃ-: 도망치다 + -ər:CAUS → qɑtʃər-: 도망치게 하다, 놓아주다

pɨʃ-: 익다 + -ɨr:CAUS → pɨʃɨr: 익히다

④ 위의 표지 이외에도 소수 동사 뒤에 -sɛt, -əz/-ɨz, -ʁəz, kɛr 등 출현빈도가 낮은 사동 표지가 올 수 있다.

kør-:보다 + -sɛt:CAUS → kørsɛt-: 보게 하다

tɑm-: 떨어지다 + -ət:CAUS → tɑmət-: 떨어지게 하다

im-: 젖을 빨다 + -ɨz: CAUS → imɨz-: 젖을 빨게 하다

tur-: 서다 + -ʁəz:CAUS → turʁəz-: 서게 하다, 멈추게 하다

øt-: 통과하다 + -kɛr:CAUS → øtkɛr-: 통과하게 하다

  • 자동사 뒤에 사동표지가 붙는 경우 자동사가 타동사로 변하고 직접 목적어를 가질 수 있게 된다.
  • 타동사 뒤에 사동표지가 붙는 경우 문장의 주어가 해당 동시가 나타내는 동작을 직접적으로 시행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tata1255 chenzongzhen2008:565
polɑwpɨʃ-tɨ.
pilafripe-PST
필래프가 익었다.
tata1255 chenzongzhen2008:565
menpolɑwpɨʃ-ɨr-dɨ-m.
1SGpilafripe-CAUS-PST-1SG
내가 필래프를 익혔다(만들었다).
tata1255 chenzongzhen2008:565
sinɑrɑqə-nəkøpɨtʃ-mɛ.
2SGalcohol-ACCa.lotdirnk-NEG
너는 술을 많이 마시지 마!
tata1255 chenzongzhen2008:565
sinbɑlɑ-ŋɑsu-nəkøpɨtʃ-ɨr-mɛ.
2SGchild-2SG.POSSwater-ACCa.lotdrink-CAUS-NEG
너는 네 아이를 술을 마시게 하지 마!

7

4) 동사의 태에 관하여:

① 일부 동사는 여러 가지 태의 형식을 가지지만 그 태들에 대응되는 능동태의 형식은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 yirɛn-: 공부하다 (능동태)

yirɛt-: 공부하게 하다, 가르치다 (사동태)

yirɛ-라는 동사가 없다.

  • ʤələn-: 따뜻함을 느끼다. (능동태)

ʤələt-: 가열하다. (피동태)

ʤələ- 라는 동사가 없다.

② 여러 태 표지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이 때 술어가 나타내는 의미가 복잡해진다.
  • tʃəq-: 나오다

tʃə-ʁɑr-: 나오게 하다, 꺼내다, 빼내다,

tʃə-ʁɑr-əl-: 꺼내게 하다, 꺼내게 하다

  • quj-: 물을 대다,

qujən-: 샤워하다, (자신에게 물을 대다)

qujəndər-: 사워하게 하다

doc/tatar-cn/4_ss/46_val/46_va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2:33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