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tholo
»
2_wordclass
»
22_noun : 명사 (noun)
추적: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91_borrowing : 차용 (borrowing) : 100% :
•
22_noun : 명사 (noun)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tholo:2_wordclass:22_noun:22_noun
목차
22_noun : 명사 (noun)
(1) 명사의 성
(2) 명사의 격
(3) 명사의 지소
22_noun : 명사 (noun)
명사 자체에 형태적 변화가 없으며 문법 범주는 다른 어휘 또는 접사로 표시된다.
(1) 명사의 성
탕랑어의 명사는 음성과 양성이 있는데 이는 접사로 구분된다.
양성을 나타내는 접미사: pa⁵⁵, pu³¹, za³³
음성을 나타내는 접미사: mu³³
tang1372
gaixingzhi2007
:371
ʑʌ⁵⁵pa⁵⁵ : 수탉
æ̃³³pu³¹ : 수오리
do³¹za³³ : 조카
ʑʌ⁵⁵mu³³: 암탉
æ̃³³mu³³ : 암오리
do³¹mu³³ : 조카딸
(2) 명사의 격
1) 대격: lɛ⁵³(læ⁵³)
목적어 뒤에 쓰여 목적어가 피동작주인 것을 나타낸다.
tang1372
gaixingzhi2007
:371
na¹³ʁæ̃³¹
ã⁵⁵
ʁa³¹
lɛ⁵³
kæ³³
ʁa³³
kɤ⁵⁵.
1PL
??
fish
ACC
catch
COM
can
우리는 물고기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2) 주격: ɢɯ³³
주어 뒤에 쓰여 주어가 동작주인 것을 나타낸다.
tang1372
gaixingzhi2007
:371
pɤ⁴⁴pɤ⁴⁴
ɢɯ³³
na³¹
ti⁵⁵.
brother
NOM
1SG
hit
오빠/형이 나를 때린다.
3) 방향격: a³³, ɢɯ³³, læ⁵³
장소나 방향을 나타나는 명사 뒤에 쓰여 어디에서 온다는 의미를 뜻한다.
tang1372
gaixingzhi2007
:374
na³¹
pʌ¹³tɕi³³
a³³
la³¹.
1SG
Beijing
LAT
come
나는 북경에서 온다.
여기서 ‘a³³’가 ‘ɢɯ³³’로 교체될 수 있다.
tang1372
gaixingzhi2007
:374
i³³
tʰo⁴²lo⁴²za³³dɯ³³
læ⁵³
la³¹.
3SG
Tholo.dam
LAT
come
그는 탕랑둑에서 온다.
(3) 명사의 지소
일부 명사 뒤에 지소를 나타내는 접미사 za³³가 연결된다.
tang1372
gaixingzhi2007
:371
tʂʰɿ⁵⁵za³³ : 새끼 염소
ȵi³³za³³ : 송아지
kʰɯ⁵³za³³ : 강아지
sɿ³³lɯ³¹za³³ : 어린 총각
zã³³mæ̃³³za³³ : 어린 처녀
doc/tholo/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2/08 16:13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