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tholo
»
8_lexicology
»
82_wform : 조어법 (word formation)
»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추적:
•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tholo: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
목차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1) 병렬(竝列)
(2) 수식(偏正)
(3) 주술(表述)
(4) 목술(支配)
(5) 보충(補充)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합성어의 구성 방식에는 병렬(竝列), 수식(偏正), 주술(表述), 목술(支配), 보충(補充) 등이 있다.
(1) 병렬(竝列)
두 단어가 합성하여 새로운 단어가 되는 것이다.
tang1372
gaixingzhi2007
:369
bʌ³³ : 부친 + mʌ³³ : 모친 → bʌ³³mʌ³³ : 부모
tʂʰʌ⁵³ : 부축하다 + tɤ³³: 기대다 → tʂʰʌ⁵³tɤ³³ : 곁부축하다
nɯ⁴⁴ : 적다 + ȵʌ⁵³ : 많다 → nɯ⁴⁴ȵʌ⁵³ : 얼마간
ko³³ : 부유하다 + tsa³³ : 부유하다 → ko³³tsa³³ : 부자
(2) 수식(偏正)
수식어와 중심어의 위치에 따라 다시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1) 수식어+중심어
tang1372
gaixingzhi2007
:369
χɤɹ³³ : 가죽 + tsʰɯ⁵⁵nɯ⁵⁵ : 신발 → χɤɹ³³tsʰɯ⁵⁵nɯ⁵⁵ : 구두
dʐɿ³¹ : 머리 + tsʰɯ³¹ : 털 → dʐɿ³¹tsʰɯ³¹ : 머리카락
væ⁵⁵ : 암석 + kʰɤɹ⁴² : 동굴 → væ⁵⁵kʰɤɹ⁴² : 암동
dzæ̃⁵³ : 타다 + mɤ⁵³ : 말 → dzæ̃⁵³mɤ⁵³ : 타는 말(또는 타는 짐승)
2) 중심어+수식어
tang1372
gaixingzhi2007
:370
ʑi³¹ : 물 + tsʰa³³ : 덥다 → ʑi³¹tsʰa³³ : 더운물
qʰo⁴² : 해 + ɕi⁵⁵ : 새롭다 → qʰo⁴²ɕi⁵⁵ : 새해
mæ³³ : 천 + tʂɿ⁵³ : 헐다 → mæ³³tʂɿ⁵³ : 헌 천
kʰɯ⁵³ : 개 + ne⁵⁵ : 검다 → kʰɯ⁵³ne⁵⁵ : 검둥개
(3) 주술(表述)
주어와 술어가 합성되는 방식인데 주로 명사와 동사, 형용사의 합성이다.
tang1372
gaixingzhi2007
:370
me⁵⁵ : 눈 + æ̃⁵⁵ : 멀다 → me⁵⁵æ̃⁵⁵ : 장님
mi⁴² : 태양 + do³³ : 나오다 → mi⁴²do³³ : 동쪽
ko³³ : 알 + ʂæ³³ : 노랗다 → ko³³ʂæ³³ : 노른자
sɿ³³mɤɹ³³ : 폐 + na³¹ : 앓다 → sɿ³³mɤɹ³³na³¹ : 폐병
(4) 목술(支配)
목적어와 술어로 합성되는 것인데 목적어는 앞에 있다.
tang1372
gaixingzhi2007
:370
ʑʌ³¹ : 사람 + qʰu⁴² : 훔치다 → ʑʌ³¹qʰu⁴² : 도둑
me³³ : 병사 + qa⁵³ : 통제하다 → me³³qa⁵³ : 군관
mæ³³ : 천 + pʰæ³³ : 묶다 → mæ³³pʰæ³³ : 머릿수건
(5) 보충(補充)
뒤에 오는 단어가 앞에 있는 단어를 보충 설명하는 내용이다.
tang1372
gaixingzhi2007
:370
ĩ⁵⁵ : 보다 + mu³¹ : 보충(결과) → ĩ⁵⁵mu³¹ : 보이다
be³³ : 말하다 + pʰɤ³³ : 보충(정도) → be³³pʰɤ³³ : 설명하다
tʂʰɿ⁵⁵ : 양 + ʁæ̃³¹ : 보충(수) → tʂʰɿ⁵⁵ʁæ̃³¹ : 양떼
doc/tholo/8_lexicology/82_wform/wform_comp.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2/08 16:46 저자
최소연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