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의 복수는 명사 뒤에 복수 접미사 –pa(13)를 추가하여 표시한다.
p‘ai55 집 p‘ai55pa(13) 집들
p‘en55p‘en55ma 나비 p‘en55p‘en55mapa(13) 나비들
명사에 수식어가 있으면 –pa(13)는 수식어 뒤에 추가한다.
so55ŋo13 tɕ‘ilu13 pa(13) 어른들
사람 큰
복수 접미사 –pa(13)은 불가산명사에도 붙을 수 있다.
ne55ts‘ur55 상황 ne55ts‘ur55pa(13) 상황들
아래와 같은 경우는 단수 형태를 써야 한다.
so55ŋo13 t‘am55tɕeˀ55 모든 사람 사람 모든
| sa13 | wak13tsa55 | taŋ(13) | sa13min13 | wak13wsa55 | pa(13) | te13ka(13) | me13a55le13 | ma13-wa13 |
| boy | child | and | girl | child | PL | together | play | NEG-PTCL |
-pa13을 접미사로 기술했지만, 명사에 수식어가 붙을 경우 –pa13이 수식어 뒤에 붙는다는 점, 명사가 대등하게 결합하는 경우에는 뒤의 명사에 pa13가 한 번 결합한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pa13은 접미사가 아닌 조사로 볼 수 있다.
명사가 기타 성분과 결합할 경우 종종 구조조사와 함께 쓰여야 한다. 단, 명사가 목적어로 출현할 경우 구조조사가 필요 없다. 또한, 시간명사를 제외한 기타 명사가 동사를 수식할 경우 모두 구조조사가 있어야 한다. 명사가 기타 명사를 수식하거나 명사가 주어 역할을 할 경우에는 구조조사를 쓸 수도 있고 쓰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관해서는 조사 항목을 참고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