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라문바어의 지시사는 지시 대상에 따라 세 가지 부류로 나뉜다.
사람이나 물건을 지시하는 대명사에는 u55t‘u55(u55hu55) '이', u55ȵu13 '저'가 있다. 피수식 명사의 앞에 위치한다.
u55hu55 | riu13 | tɕ‘ep55 | tsu55p‘u55 | raŋ | ma13-la13 |
this | mount | slope | steep | PTCL | NEG-EXIST |
u55ȵ13 | ri13 | ɕ‘o | tsaŋ55pu55-ri13 | ki13la13 | mo13 |
that | river | PTCL | zangpu.PR-river | COP | Q |
지시사는 복수 접미사 –pa(13)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피수식 명사가 복수 접미사를 취한 경우 지시사는 복수 접미사를 취할 수 없다. 즉 –pa(13)은 명사구에 붙는 것이다.
u55ȵu13 | ɕiŋ55 | pa(13) | u55hu55 | ta13wa | to55maŋ13 | ma13-la13 |
that | tree | PL | this | like | wide | NEG-EXIST |
장소를 지시하는 지시사에는 o55t‘a(o55ha) '여기', o55ȵa13 '거기', o55le55la '저기'가 있다. 문장에서 부사어 역할을 하며 동사 앞에서 장소를 나타낸다.
op55tur55 '이정도 많이, 이때'는 명사 뒤에서 명사를 수식하거나 구조조사 ka(13)와 함께 쓰여 부사어 역할을 할 수 있다.
ko13ma13 | la | u5t‘u55 | lap13 | ka | pat55pa55 | po55tur55 | ma13-wa13 | tɕ‘o55wa | na13 |
before | PTCL | this | road | PTCL | ant | DEM | NEG-EXIST | EXIST | FP |
nam13ȵiŋ13 | po55tur55 | ka(13) | rok13te55pa(13) | pet13pe55 | raŋ | paŋ55ɕiŋ55 | ka(13) | ɕek55pe55 |
tomorrow | DEM | PTCL | 3PL | already | PTCL | bangxing.PR | PTCL | arri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