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tuva:1_phonology:12_vowel:12_vowel

12_vowel : 모음 (vowel) :

모음 음소(24개)

  • 단모음 8개, 장모음 8개, 이중모음 4개
  • 인두음(pharyngalized)화된 모음은 정자법상 모은 하나만 쓰지만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때로 모음 뒤에 경자음 부호(ъ)로 표시. Sat1966에서 인두음의 발음 표기는 а., е., ы., и., у., ү., о., ө. (Sat1966:387-88)
고저 전후 원순 음소(단모음, 장모음, 인두음) IPA
high front unrounded и, и:, иъ i, i:, ì
high front rounded у, у:, у:ъ (ү, ү:, үъ) y, y:, ỳ
high back unrounded ы, ы:, ыъ M, ɯ:, ɯ̀
high back rounded у, у:, уъ u, u:, ù
mid front unrounded е, е:, еъ e, e:, è
mid front rounded о, о:, оъ (ө, ө:, өъ 8, ө:, ø̀
low back unrounded а, а:, аъ a, a:, à
low back rounded о, о:, оъ o, o:, ò
각 모음이 포함된 어휘의 예
tuvi1240 sat2005:121
  • бар : 'be'
  • кел- : 오다
  • эл : 절벽
  • кыл- : 하다
  • ине : 바늘
  • улуг : 큰
  • үн : 소리
  • аал : 마을
  • бээр- (< бер-ер) : 주다
  • чыыр- (< чыг-ыр) : 모으다
  • чиирей : 싹
  • буур : 무스(말코손바닥사슴)
  • чүүл : 기사, 논문
  • арга : 숲
  • кежиг : 여울
  • кыш : 겨울
  • ижер : 마시다
  • удар : 이기다
  • үзер : 뿔로 받다
  • аът : 말(동물)
  • оът : 풀
  • эът : 고기
  • каът : 층
  • чаъс : 비
  • чүък : 짐
  • дүъш : 정오
  • аъш-чем : 식품

투바어 모음의 특징

모든 모음 음소는 삼중대립을 이룬다. 단모음-장모음-인두음(pharyngalized)
모음조화가 일관되게 지켜진다. (전후위치에 따른 모음조화, 일부 원순성에 따른 모음조화)
tuvi1240 sat2005:121
аът-тар-ывыс-ка
horse-PL-1PL.POSS-DAT
우리의 말들에게(DAT)
tuvi1240 sat2005:121
хол-ум-ну
hand-1SG.POSS-ACC
나의 팔(손)을 (ACC)
장단모음
  • 장모음은 정자법상 모음을 두 번 써서 표시한다.
  • 장모음과 단모음은 단어 내 그 어떤 위치에도 올 수 있다.
인두음
  • 인두음은 low pitch가 특징이고, 단모음에 비해 최소한 0.5배 길다.
  • 인두음의 표기는 규칙적이지 않다. 의미의 혼동을 피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ъ을 함께 쓴다.
  • 인두음은 첫 음절에만 올 수 있다.
doc/tuva/1_phonology/12_vowel/12_vowe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11:32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