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tuva
»
1_phonology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추적:
•
27_num : 수사 (numeral)
•
36_ptcl : 첨사(particle)
•
wform_comp: 합성(compounding)
•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tuva:1_phonology:13_supra:13_supra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13_supra : 초분절요소 (suprasegmental)
강세
강약강세. 비교적 약하다. 대개 마지막 음절에 떨어진다.
киъжи́ : 사람
киъжиле́р : 사람들(PL)
киъжилерге́ : 사람들(DAT)
예외적으로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떨어지지 않는 경우
1) 동사의 부정 접사 -ма́(변이형 포함)는 항상 강세가 있으므로 그 뒤의 음절들은 강세가 없다.
tuvi1240
sat1966
:388
алба́дым
나는 가져가지 않았다 (ru. Я не взял.)
tuvi1240
sat1966
:388
кылбаа́ннар
하지 않았다 (ru. не делали.)
tuvi1240
sat1966
:388
келбе́ҥер
오지 마세요 (ru. не приходите)
2)
강약강세 외에도 음악강세, quantitative 강세도 감정 표현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조어와 어휘적 의미가 있는 단어가 하나의 단위로 발음될 경우, 강세는 어휘 의미가 있는 단어에 떨어진다.
tuvi1240
sat2005
:121
чана́верген
집으로 떠났다. (ru. ушел домой)
tuvi1240
sat2005
:121
бажы́ҥ
иъштинде
집 안에. (ru. в доме)
러시아어에서 직접 차용된 단어는 러시아어 단어의 강세 모음은 장모음이 되고 투바어의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온다. (사전을 확인한 결과, 표기는 그대로이고 발음만 달라진 것으로 보임)
парта
па:рта́
: 걸상이 달린 책상
шкаф
ыъшка́:п
: 장(책장, 옷장 등)
doc/tuva/1_phonology/13_supra/13_supra.152524938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5/02 17:23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