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tuva
»
1_phonology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추적:
•
subr_rel : 관계절 (relative clause)
•
31_pro : 대명사 (pronoun, pronominal)
•
11_cons : 자음 (consonant)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tuva: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목차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모음조화
자음동화
자음탈락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모음조화
투바어 고유어뿐 아니라 몽골어 차용어에도 모음조화가 나타난다.
단어의 첫 음절 모음에 맞추어 다음 음절들의 모음이 조화를 이룬다.
모음조화의 예외
1) предельное наклонение 접사 -гыжемче
tuvi1240
sat1966
:388
кылгыжемче
0
내가 하기 전에 (ru. до тех пор, пока не сделаю)
3) 부동사 접사 -бышаан
tuvi1240
sat1966
:389
биживишаан
3SG
아직 쓰고 있다 (ru. еще пишет)
자음동화
모음 사이에서는 유성자음(약자음)이 사용된다.
tuvi1240
sat1966
:389
ада : 아버지
어중에서는 무성음은 무성음과, 유성음은 유성음과 결합한다.
tuvi1240
sat1966
:389
кастар : 거위들(PL)
оттар : 불들(PL)
даглар : 산들(PL)
номнар : 책들(PL)
자음교체
tuvi1240
sat1966
:389
тудуш + -ур > тутчур : 버티다
эгин + -и > экти : 그의 어깨
고대언어에 나타나는 자음 조합(лч, рт)이 나타나기도 한다.
tuvi1240
sat1966
:389
кулча : 들파
чурт : 나라
이화
tuvi1240
sat1966
:389
тал + -лар > талдар : 버들(PL)
자음탈락
접사가 붙을 때 모음 사이의 자음이 탈락하는 현상
tuvi1240
sat1966
:389
келир > кэир > кээр : 오다
чуруган > чуруан > чураан : 그렸다(PAST)
чагы > чаы > чаа : 그의 비계
doc/tuva/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06:09 저자
최문정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