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udmurt:0_general:02_dialect:02_dialect

02_dialect : 방언 (dialect)

  • 크게 3개의 방언: 북부, 중부, 남부
  • 현대 인텔리겐차 사회, 초등 교육, 정기간행물, 라디오, 텔레비전, 문학, 과학, 사회-정치분야에서 사용하는 표준 우드무르트어는 중부 방언의 특징을 따르는데, 중부방언은 북부 및 남부 방언의 특성이 혼합된 양상을 보이되 남부 특성이 좀 더 강하다.
  • 주류 작가, 시인의 다수가 남부방언을 구사한다.
  • 북부와 남부 방언의 차이는 주로 음성과 어휘
  • 19세기 말 무렵 표준어 형성(Tarakanov 2005:188)
  • 문어의 발전에는 베레샤긴(Г. Верещагин)의 «보트어(우드무르트어의 옛 명칭) 서적들에 대하여(О книгах на вотском языке) (1910)»가 공헌
  • 비고. 중부 방언 대신 베세르만 방언(우드무르트 북부의 발레진스키, 글라좁스키, 야르스키, 유카멘스키 지역에 거주하는 베세르만인의 방언)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1) 북부 방언

  • 사용지역: 주로 키롭스키 지역: 야르스키, 글라좁스키, 크라스노고르스키, 유가멘스키, 발레진스키, 게즈스키, 이그린스키, 데베스키 지역 등
  • 격의 개수: 북부 20개 vs. 남부 13-15개
  • 복수 대격: 북부 /-ti̮/ vs. 남부 /-i̮z/
  • 외향격: 북부 /-i̮ś/ vs. 남부 /-iś/
  • 출발격: 북부 /-i̮śen/ vs. 남부 /-iśen/
  • 분사 접미사: 북부 /-ku/, /-č́č́oź/ vs. 남부 /-ki̮/, /-toź/ vs. 남부 변방 / -kə̂/, /-toź, -toś/
  • 북부방언에는 음소 /ŋ/ 부재: 북부 /bam/ vs. 남부 변방 /baŋ/ '뺨'
  • 구개음 앞의 /i̮/ 유지: 북부 /pi̮ź/ vs. 남부 /piź/ '밀가루'
  • 모음 /i/ 다음에 오는 /t/, /d/, /n/의 연구개성: 북부 /kin/ vs. 남부변방 /kiń/ '누구', 북부 /gid/ vs. 남부변방 /gid́/ '빵'
  • 동사 활용시 마지막에서 두번째 음절에 강세 고정 /užádi̮/ vs. /užadí/ '당신은 일을 했다'
  • 어근의 시작위치에서 /va-/ 대신 /ṷ/ 사용: /ṷaź/ vs. /vaź/ '일찍'

2) 남부방언

  • 세부적으로는 남부 중앙(우드무르트 공화국의 알나쉬스키, 그라홉스키, 키야솝스키, 일부 모쥬긴스키 및 말로루르긴스키 지역)과 남부 변방(타타르의 바블린스키, 쿠크모르스키, 마마듸슈스키 지역, 마리엘 공화국의 마리-투렠스키 등지) 방언으로 세분
  • 남부 중앙방언과 남부 변방방언은 형태소적으로는 많은 부분 일치, 음소적 차이는 다음과 같다
  • 모음 음소가 8-10개 (북부, 중앙, 남부 중앙방언에는 7개): /u̇/, /ä/, /ə/ 추가
  • /ȯ/가 원순화된 음운 /e̮/ 사용
  • 파찰음은 2개만 남아있음(북부 방언에는 4개)
  • /j-/가 /d’-/ 또는 /ǯ́-/: /d’ȯl/ 또는 /ǯ́ȯl/ vs. 북부/남부중앙 /je̮l/ ‘우유’
  • 파열음 /t, d, k, g/은 공명음 (및 일부 유성음) 앞에서 /'/: /pə̂’me/ vs. 북부, 남부 /pi̮dme/ ‘나의 발을(대격)’, /ve’le/ vs. 북부, 남부 /vetle/ ‘걷다, 다니다’

3) 중부방언

  • 사용지역: 우드무르트 공화국의 중부지역(셀틴스키, 슘신스키, 바보쥬스키, 샤르칸스키, 얔슈르-보진스키, 자뱔롭스키, 일부 모쥬긴스키 및 말로루르긴스키 지역)
doc/udmurt/0_general/02_dialect/02_dialect.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00:46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