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으로 건너뛰기
소수 민족 언어 유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도구
로그인
사이트 도구
검색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로그인
>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현재 위치:
안내
»
Documents
»
udmurt
»
4_ss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추적: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
•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사이드바
Documents
meta
사용자
Guidelines
문서 작성법
Topics
주석 규칙
주석 약호
음성기호
Tags
Languages
Terms
Features
References
doc:udmurt:4_ss:48_tame:tame_mod
목차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양태(modality)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кондиционал)
tame_mod : 양태-서법 (modality-mood)
양태(modality)
의미: 묘사되는 행위의 허구성 또는 그 행위가 지니는 결과적 효과의 감소
동사 및 동사에서 파생된 모든 품사에서 양태의미 지님
사용되는 동사: 개인 의지로 직접적인 제어 불가능한 물리적, 화학적, 생리적 작용을 의미하는 비교적 소수의 동사. 예. пересьмыны (나이들다), бездыны (색이 바래다)
긍정문에서는 접미사 -мъяськ- (-(э)мъяськы-)
부정문에서는 긍정문 접미사에 -тэ-를 추가한 형태의 접미사 -мтэяськ- (-тэмъяськ-)
참고. 위 긍정문/부정문 접미사는 Kibardina 2012:25. Kelmakov 1993:245에서는 긍정문의 접미사만 -(э)мъяськы 또는 -мтэяськы로 기술. 아래 분석적 방식도 Kelmakov 1993.
분석적 방식: 조동사 карыны (하다)/ кариськыны (되다)/ луыны (BE)/ паймыны (놀라다) + 분사형(-(э)м/-мтэ)
udmu1245
Kelmakov1993
:245
пайм-емъяськы-ны
get.surprised-pretend.MOD-INF
놀란 척 하다
udmu1245
Kibardina2012
:25
кырна-мъяськы-ны
sing-pretend.MOD-INF
노래하는 체하다, 노래하려고 시도하다
udmu1245
Kibardina2012
:25
кырна-мтэяськы-ны
sing-pretend.MOD.NEG-INF
노래하지 않는 체하다
udmu1245
Kibardina2012
:26
вераське-мъяськы-ны
talk-pretend.MOD-INF
말하는 체하다, 말하려고 시도하다
udmu1245
Kibardina2012
:27
вала-мтэяськ-из
understand-pretend.MOD.NEG-PST.3SG
(그는) 이해하지 못한 체했다(실제로는 이해함)
부정문은 긍정의 동사 앞에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아래의 부정소사를 첨가하여 만들 수도 있다.
인칭
단수
복수
1
кй
км
2
кд
3
кз
1
уг
2
уд
3
уз
udmu1245
Kibardina2012
:27
кй
лыдне-мъяськ-ы
NEG.1SG
read-pretend.MOD-PST.1SG
나는 읽지 않은 체했다
우드무르트어의 양태 에 대한 초기연구로는 Alatyrev 1959; 최근연구는 Kibardina 2012 참고
직설법
인칭, 수, 시제 표지 (23_동사 문서 참고)
명령법
'44_문장유형'의 명령문 참고
조건법(кондиционал)
동사의 어간에 접사 -сал- (단수에서 인칭 접미사의 사용은 선택)
udmu1245
Alatyrev1983
:579
мон
вера-сал
PRON.1SG
speak-COND.1SG
내가 말했더라면
udmu1245
Kelmakov1993
:251
пукы-сал-мы
sit-COND-1PL
우리가 앉았더라면
인칭
단수
복수
1
-сал
-сал-мы
2
-сал-ыд (-сал-∅)
-сал-ды
3
-сал (-сал-ыз)
-сал-зы
부정문은 모든 인칭, 수에서 부정소사 ӧй를 쓴다
udmu1245
Kelmakov1993
:251
мон
ӧй
кора-сал
I
NEG
chop-COND.1SG
내가 자르지 않았더라면
doc/udmurt/4_ss/48_tame/tame_mod.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0 00:35 저자
동영은
문서 도구
원본 보기
이전 판
역링크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