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ighur:4_ss:48_tame:tame_tense

tame_tense : 시제 (tense)

과거시제

평서법 과거 시제는 몇 가지의 의미-형태론적 계열들을 가진다

  • 정과거 (Definite past)는 동사 어간에 인칭의 곡용어미 -м, -ң, -ңиз, -қ, -ңлар에 접사 -ди, -ти, -ду, -ту가 결합하여 형성된다.
uigh1240 kaidarov1996:377
  • кәлди-м I arrived
  • кәлди-ң You arrived
  • кәлду-қ We arrived
  • 과거 분사는 의미적으로는 정과거에 가깝지만, 이미 이루어진 후 충분한 시간이 지난 사건에 대하여 말할 때 사용된다.
uigh1240 kaidarov1996:377
  • мән көргән I saw
  • у ейтқан He told
  • 부정과거는 동사의 분사 형태인 -ған, -гән, -қан, -кән과 접사 -ду(р)의 결합으로 실현된다.
uigh1240 kaidarov1996:377
  • кәлгәнду 왔을 것이다
  • аңлиғанду 들었을 것이다
  • Preterit은 동사의 부동사 형태 (-п, -ип, -уп, -үп)와 (2인칭에서는 생략되는) 접사 -ту의 결합으로 실현된다.
uigh1240 kaidarov1996:377
  • оқуптумән
  • көрүптүмән
  • берипту
  • жүрүпту

Preterit은 또한 동사의 부동사 형태 -ип 혹은 -ту 와 조동사 е- (еди, екән)의 결합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uigh1240 kaidarov1996:377
  • мән келиведим
  • сән келиведиң
  • биз келиведуқ
  • сән кәптикәнсән
  • у кәптикән
  • силәр кәптикәнсиләр
  • улар кәптикән
  • 부정의 뉘앙스를 가진 Preterit은 부동사 형태 -ип, -уп, -уп, -п + ту와 비교의 접사 -дәк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uigh1240 kaidarov1996:377
  • мән берип-тәкмән (берип-ту-дәк-мән)
  • у бериптәк (берип-ту-дәк)
  • 반복-지속의 과거시제는 과거에 통상적, 반복적이었던 행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미래시제 분사와 조동사 еди의 결합을 통해 실현된다. 반복-지속의 과거시제는 한 단어처럼 발음되고 쓰여진다.
uigh1240 kaidarov1996:377
  • язатти (язар еди)
  • келәтти (келәр еди)
  • ейтатти (ейтар еди)

현재시제

  • 발화 시점의 현재는 부동사 -п, -ип, -уп, -үп에 4가지 상태의 조동사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uigh1240 kaidarov1996:377
  • йезиватимән I'm writing
  • көруп турусән You are seeing
  • ойнап жүрүду He is playing
  • 발화 시점의 현재는 동사의 부정형에 접사 -та (-тә)가 결합되어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형태는 주로 문어에서 사용된다.
uigh1240 kaidarov1996:377
шәһәр-дәнурғунлиғанйеңибина-ларселинмақ-та
city-LOCmanynewbuilding-PLconstruction-PRS
도시에 많은 새로운 건물들이 지어지고 있다

미래시제

평서문 미래시제는 미정-예측 미래(будущее неопределенно-предположительное)와 예정 미래(будущее определенное)로 나뉜다.

  1. 미정-예측 미래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a) 동사 어근에 형동사 미래의 접사 -ар, -әр와 인칭 접사를 결합한다. 예를 들면, мән алармән (I will take, maybe), сән аларсән (You will take, maybe). b) 분사 형태 -а, -ә, -й와 결합하는 접사 -ди-ған-ду의 인칭변화 곡용. 예를 들면, мән бар-и-ди-ған-ди-мән (Maybe, I will go).
  2. 예정 미래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a) 현재분사 -а, -ә, -й와 인칭 접사의 결합. яз-а-мән – язимән (I will write), кел-ә-мән – келимән (You will write). b) 동사 어근에 복합접사 -мақчи (-мәкчи) 결합. 예를 들면, мән ейтмақчимән (I will tell).
doc/uighur/4_ss/48_tame/tame_tense.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8 12:28 저자 안대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