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 변화는 명사와 동일하다.
NOM | ikki | besh | qirq | ellik |
GEN | ikki-ning | besh-ning | qirq-ning | ellik-ning |
ACC | ikki-ni | besh-ni | qirq-ni | ellik-ni |
DAT.LAT | ikki-ga | besh-ga | qirq-qa | ellik-ka |
ABL | ikki-dan | besh-dan | qirq-dan | ellik-dan |
LOC | ikki-da | besh-da | qirq-da | ellik-da |
서수사는 -(i)nchi 접사를 기수사에 붙여서 생성한다.
접사 -ta를 붙여 개수를 표현한다.
접사 -tadan을 붙여 ‘~씩'이라는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단위 표현과 dan을 붙여 표현할 수 있다.
접사 -lab으로 배분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접사 -tacha, -larcha는 수사 뒤에 결합하여 어림수를 표현한다.
두 수사를 결합하여 범위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esh-oʻn ‘five-ten'과 같이 쓰일 수 있으며 이러한 표현에 -tacha가 덧붙기도 한다.
접사 -ov, -ala로 집합 수사를 표현한다.
분수 개념을 표현하는 개별 단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분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