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veps:2_wordclass:22_noun:22_noun

22_noun : 명사 (noun)

  • 벱스어는 형태학적으로 응집력있는 언어 중 하나이다. (형태를 나타내는 접사를 어근에 붙여 단어 형성)
  • 품사로는 명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 동사, 부사, 전치사, 후치사, 접속사, 첨사, 감탄사가 있다.
  • 벱스어의 명사는 격, 수, 소유형태를 갖는다. 명사의 수는 단수, 복수를 갖는다.
  • ontei(안톤-사람이름), elikii(소의별명), pu(나무) , tullii(바람) 등 이름, 성, 별명 및 일반적인 명칭들을 나타낸다.
  • 단수는 어떠한 표지도 갖지 않는다.
  • 주격 복수 표지 : -d
단수복수
시골küläkülä-d

명사의 복수

  • 명사의수는 단수, 복수 두가지를 갖는다.
  • 복수는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1번째 그룹은 주격과 대격 에서는 –d 의 표지를 가지며 나머지 격은 –i- 가 어미부분에 들어간다. 어근 + (i)복수표지+격표지 순서로 나타낸다.
    표지 i 는 다음과 같이 붙인다.

1) e + i = i

save - +i = savi

단음절의 단어일 경우 e + i = ei

te + i = tei

2) i+i = i
kodi + i = kodi

단음절일 경우 i + i = ii

pi +i = pii

3) o+i = oi

pino + i = pinoi

4) u + i = ui

sugu + i = sugui

5) ä+ i = äi

단음절일 경우 sä + i = säi 이며,
단음절이 아닐 경우에는 ä + i 는 i 가 된다. külä + i = küli

ö + i = öi 예 ) vö + i = vöi

ü + i = üi 예 ) sü + I = süi
a + i = o 또는 i 로 나타난다.

예) södaba + i = södabi

  • käzi : hand → käded : hands
  • gärv : lake → gärved : lakes
  • vell : brother → velled : brothers

명사의 격

  • 벱스어의 격은 학자에 따라 10개의 격에서 24개 격으로 나누어 진다.다른 어떤 핀어중 가장 많은 격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핀어족이 갖는 격을 비슷하게 갖지만, 다른 언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격도 몇 가지 있다.
  • 격이 다양하게 나뉘는 것은 경우에 따라 한 방언의 격표지가 다른 방언의 후치사로 분류 되는 경우도 있는데, 후치사로 분류하지 않고 격으로 보는 학자들의 견해와 후치사로 보는 견해로 나뉘게 된다. 예를 들어 ‘te-dme’ 는 중부방언에서 prolative case 로 ‘길을 따라서, 길을거쳐’ 를 말할 때 사용한다. 이를 북부방언에서는 ‘ted möto’로 나타낸다.
  • Хямяляйнен(1966)은 11격,Зайцева(2001) 는 18개 격으로 나누며, 이 두 학자의 의견을 일반적인 견해로 본다.
  • 23개의 격전체와 표지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GPL
NOM--d
ACC-n-d
GEN-n-iden
PTV-d,-t(-da)-id
  • interior lacative cases
SGPL
INE-s(-š) -iš
ILL-hV, -ze(-že)ihe, -iže
ELA-späi (-špäi) -išpäi
  • exterior locative cases
SGPL
ADE-l-il
ALL-le(-lle)-ile
ABL-lpäi-ilpäi
  • approximant locative cases
SGPL
APPR1-nno-idenno
APPR2-nnoks-idennoks
EGR-nnopäi-idennopäi
  • terminative , locative cases
SGPL
TERM1-hVsai, -zesai(-žesai) -ihesai, ižesai
TERM2-lesai(-llesai)-ilesai
TERM3-ssai(-ššai)
  • additive , locative cases
SGPL
ADD1-hVpäi, -zepäi(-žepäi)-ihepäi, -ižepai
ADD2-lepäi(-llepäi)-ilepäi

- 이외의 격

SGPL
Essive-instructive-n-in
TRANSL-ks(-kš)-ikš
ABE-ta-ita
COM-nke-idenke
PROL-dme, -tme (-dame)-idme

주격(NOM)

  • Ken? 누구? Mi? 무엇?
  • 주격단수는 별도의 표지를 갖지 않으며 복수 어미에 –d 를 붙인다.
kana-d 암탉들(hens)
käde-d손(두 손, 손들)(hands)
perti-d집들(housese)
hougi-d담수어들 (창꼬치 라고 하는 꼬치모양의 담수어)( (pikes )

주격의 역할

1) 호격의 역할로 2) 복합단어의 한정사 역할

hiinregi воз сена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сено-воз)
sohiin백양나무

3)첨가의 역할

marfa-totaMarfa.NOM-aunt 마르파 이모
peša- dadaPesha.NOM-uncle 페챠 삼촌

대격(ACC)

  • Kenen ? 누구를 Min? 무엇을
  • 목적어를 나타내며 단수 –n , 복수 –d 의 표지를 갖는다.

속격(GEN)

  • Kenen ? 누구의 Min? 무엇의
  • 속격(GEN)소유와 관계를 나타낸다. 단수-n , 복수 –iden 의 표지를 갖는다.
middemei us
tiidetei yours
hiiden theirs
veps1250 Zajtseva1981:179
perti-n
дом-GEN
집의
veps1250 Zajtseva1981:179
Velle-npert
Brother-GENhouse
형의 집(дом брата)
veps1250 Zajtseva1981:179
Sizare-ntütar
Sister-GENdaughter
여동생(언니)의 딸 (дочь сестры)
tiidetei yours
middemei us
hiiden theirs

비교를 나타내는 속격

  • 어떤 것과 비교하기 위해 속격을 사용하기도 한다.
veps1250 Zajtseva1981:179
perti-nkortte
house-GENhigh
집만큼 높은
veps1250 Zajtseva1981:179
metrar-npitte
meter-GENlong
미터로 쟀을 때 긴 (длинной с метр)

다음 후치사는 속격을 수반한다. (자세한 예시는 topic 33 부치사에서 다룬다.)

eiga :~ 동안, ~ 존재하는 동안
ou : ~아래에(위치)
alle :아래로(방향)
oupei : 밑으로부터
edes :앞에서
edehe: 앞으로
kartte: ~ 처럼
keskes: 중간에,~ 사이에(between)

부분격(PART)

  • keda? , Midä?
  • 부분 목적어, 정해지지 않은 양을 나타낼 때

재내격(INE)

  • ke(ne)s? (в ком?) 누구안 에? miš?(в чем) 무엇안에? kus? (где) 어디에에?
  • ~ 안에 의미를 갖고, 단수는 –s(-š), 복수는 –iš 표지를 갖는다.
재내격의 예시
veps1250 Piterin2014:15
Minäolenperti-š
Ibenest-INE.3SG
나는 집에 있다.
veps1250 Piterin2014:15
Häneiolemeca-s
Henobeforest-INE.3SG
그는 숲에 없다.
veps1250 Piterin2014:15
Mamomlauka-s.
Mominstore-INE.3SG
엄마는 가게안에 있다.

재내격의 용법

  • 재내격은 ‘~안에’ 라는 의미 외에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재내격 용법 : 1) 상태
veps1250 Piterin2014:65
Aidomluklo-s.
wareinlock-INE.3SG
창고는 자물쇠로 걸려있다.
재내격 용법 : 2) 일의 종류를 나타낼 때
veps1250 Piterin2014:16
Mašaomsen-iš.
Mashainmushroom-INE.3PL
마샤는 버섯을 가지러 갔다.
재내격 용법 : 3) 시간을 나타낼 때
veps1250 Piterin2014:16
Kogonaiže-svode-senvoiehttä!
whole-INE.3SGyear-INE.3SGnocansuccess!
일년내내 해도 나는 할수없다!(За целый год не могу успесть! )
재내격 용법 : 4) 몸의 일부분이 무엇인가 입고 있을 때. (예)장갑을 껸 손, 부츠를 신은 발
veps1250 Piterin2014:16
Sapugomjauga-s
bootinfoot-INE.3SG
부츠를 발에 신고 있다.
재내격 용법 : 5) 이외에도 ‘새가 나무위에 앉아 있다’ 등의 ‘~위에’ 표현도 벱스어에서는 재내격을 사용한다.
veps1250 Piterin2014:15
Lindištubpu-s.
birdsittingtree-INE.3SG
새가 나무위에 앉아있다.

내향격(ILL)

  • kehe? , Mihe? Kuna? – 안으로 라는 의미를 갖고 단수는 –hV, -ze(-že) , 복수는 –ihe, -iže 표지를 갖는다.
veps1250 Piterin2014:25
Savi-he
clay-ILL
진흙(점토) 안에로
veps1250 Piterin2014:25
su-hu
mouth-ILL
입안으로
veps1250 Piterin2014:25
so-ho
bog-ILL
늪지로
  • 격표지 앞에 모음 i 가 있다면 표지로 –he 가 온다.
veps1250 Piterin2014:25
kodi-he
house-ILL
집안으로
veps1250 Piterin2014:25
Minatule-nkodi-he
Iarrive-1SG.PRShouse-ILL
나는 집안으로 간다.(도착한다.)

내향격은 다음과 같은 다른 의미를 가진다.

1) 닮았다는 표현할 때

veps1250 Piterin2014:26
tütärnahodi-btat-ha
daughterlook.like-3SGfather-ILL
딸은 아버지를 닮았다.

2) 물건에 대한 지불을 나타낸다.

veps1250 Piterin2014:26
osta-nkirjansada-nik-ha
buy-1SG.PRSbookhundred-?-ILL
(나는) 책을 100(돈단위) 에 샀다.

외향격(ELA)

  • Kespäi? (Kenespäi?) Mišpäi? Kuspäi? – 바깥으로 라는 의미를 갖고 단수는 –späi (-špäi) , 복수는 –išpäi 표지를 갖는다.
  • 외향격은 대상이나 주체가 밖의 공간으로 나가는 의미, 재료, 원인, 기원, 발단,시작점 을 나타낸다.

밖으로의 공간

veps1250 Piterin2014:30
Sizarlähte-bhonuse-späi
sistergo.out-3SG.PRSroom-ELA
언니가 방으로부터 나갔다.

재료

veps1250 Piterin2014:30
vanuimteh-tasvas’ke-späi
wiredo-3PL.PRScopper-ELA
철사는 구리로부터 된다.

이유

veps1250 Piterin2014:30
minaenmagadanäl’ga-späi
Inotsleepweather-ELA
나는 날씨 때문에 자지 못했다.

기원 , 출신

veps1250 Piterin2014:30
minaolenKurba-späii
IbeKurba(river)-ELA
나는 쿠르바 강 쪽 출신이다.

발단

veps1250 Piterin2014:30
amuižišaigoi-špäi
anciettime-ELA
고대부터

재점격(ADE)

  • Kel? (Kenel?) Mil? Kus?
  • On, upon, on top of 의 의미로 단수는 –l, 복수는 –il 를 표지로 갖는다.
veps1250 Piterin2014:34
škapseižu-blava-l
closetstand-3SG.PRSfloor-ADE
옷장이 마루에 서있다.
  • 복수
veps1250 Piterin2014:34
Kirvhedvenu-daspinoi-l
ax.PLlie-3PL.PRShaystack-ADE
도끼들이 건초더미 위에 놓여있다.
  • 이 외에도 소유, 도구, 시간, 언어 등의 뜻을 가진다.

소유

veps1250 Piterin2014:34
Timoi-lommelhetartuikirj
Timofei-ADEininterestingbook
티마페이에게 재미있는 책이 있다.

도구

veps1250 Piterin2014:34
Sinäkirjuta-dkirjutime-l
YOUwrite-2SG.PRSpen-ADE
너는 펜으로 쓴다.

시간

veps1250 Piterin2014:34
ühte-lčoma-lpäivä-lNastoiaja-blidn-ha
one-ADEbeautiful-ADEday-ADENastyago-3SG.PRScity-ILL
어느좋은날 나스쨔는 도시로 간다.

언어를 나타낼 때

veps1250 Piterin2014:34
Minäpagiže-nvepsänkele-l
Itell-1SG.PRSvepslanguage-ADE
나는 벱스어로 말한다.

향격(ALL)

  • Kelle? (Kenele?) Mille? Kuna?(어디로?)
  • 단수 표지는 –le(-lle), 복수는 –ile 를 표지로 갖는다.
veps1250 Piterin2014:37
lähte-mpöudo-le
wego.ou-1PLfield-ALL
우리는 들판으로 나갔다.
veps1250 Piterin2014:37
Konzlähte-drado-le?
whengo.out-2SGworkplace-ALL?
언제 (너는) 일터로 나가니?

향격의 용법

  • ~에게 주다, 말하다, 약속하다, 도와주다 등의 뜻도 향격으로 나타난다.
veps1250 Piterin2014:37
Tarvižvedavelle-lelehtez
mustcarrybrother-ALLnewspaper
오빠에게 신문을 가져다 주어야만 한다.
  • 다음의 예시는 현재시제 이나 미래의 의미를 갖는다.
veps1250 Piterin2014:37
Toivota-nkaiki-lesekatege-n
promis-1SG.PRSall-ALLthatsodo-1SG.PRS
그렇게 반드시 하겠다고 모두에게 약속했다.

탈격(ABL )

  • Kelpäi? (Kenelpäi?) Milpäi? Kuspäi?
  • '밖으로, 바깥에' 라는 의미를 가지며 단수는 –lpäi, 복수는 –ilpäi 표지를 갖는다.
veps1250 Piterin2014:37
Vala-tädilibu-bpordhi-lpäi
Balya-auntgo.up-3SG.PRSstairs-ABL
발랴 이모는 계단으로 오른다.

탈격의 용법

  • 이외에도 누군가에게 속해있는 물건을 가져올 때도 탈격을 사용한다.
veps1250 Piterin2014:38
Tarbižottalehtiksebranika-lpäi
musttakenotefriend-ABL
친구로부터 공책을 가져와야 한다.

접근격(APPR)

  • Kenenno? у кого ,누구의 Minno? у чего 무엇의?
  • at, by, near 뜻
  • 접근격을 두개로 나누는 구분도 있다.
    • 접근격 1 : 단수표지는 –nno, 복수는 –idenno로
    • 접근격 2(to, towards) : 단수 표지는 – nnoks , 복수는 –idennoks로 나타낸다.
  • 근처에 무엇이 위치해 있는지에 대해 나타낸다. Inessive(재내) 격과 adessive(지점)격과 의미는 거의 비슷하게 사용한다.
veps1250 Piterin2014:40
Minäištu-nkülälaukan-noivarasta-n.
Iseat-1SG.PRSstore-APPRandwait-1SG.PRS
나는 가게 근처에서 앉아있고, 그리고 기다리고 있다.
  • 접근격 2는 이동하면서 가까워지는 것을 나타낸다. (Kenennoks? к кому? Minnoks? к чему?~에게로, ~으로쪽으로) illative(내향) 과allative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veps1250 Piterin2014:40
astu-mkul'turperti-nnoks.
wego-3PL.PRShouse.of.culture-APPR
우리는 문화의집쪽으로 가고있다.

출발격(EGR)

  • ~부터를 나타내며, 단수는 –nnopäi , 복수는 – idennopäi 이다.
veps1250 Piterin2014:102
Prihaiže-dläht-tasškola-nnopäi.
boy-PLgo.out-3PL.PRSschool-EGR
소년들은 학교로부터 밖으로 나가고 있다.
veps1250 Piterin2014:102
L’ošatul-ideda-nnopäi.
Loshaarried-3SG.PSTgrandfather-EGR
로샤는 할아버지로부터 도착했다.(왔다.)

종착격(TERM)

  • termivative 1 (till, until, up to) 단수는 –hVsai, -zesai(-žesai) , 복수는 –ihesai, ižesai
  • terminative 2 단수는 –lesai(-llesai) , 복수는 –ilesai
  • terminative 3 단수는 –ssai(-ššai) , 복수는 갖지 않는다.

추가격 (ADD)

  • additive 1 단수는 - hVpäi, -zepäi (-žepäi), 복수는 –ihepäi, - ižepai 붙여 나타낸다
  • additive 2 단수는 –lepäi(-llepäi),

재격-도구격(ESS)-(INST)

( be acting as, by means of, with)

  • essive 의 표지 –n 은 복수 표지 –i 뒤에 붙는다.

재격-도구격의 용법 : 역할

veps1250 Piterin2014:96
Minuntatradabopendaja-nškola-s.
myfatherwork.3SGteacher-ESS(재격)school-INE
나의 아버지는 학교에서 선생님으로 일하신다.

재격-도구격의 용법 : 시간

veps1250 Piterin2014:96
Sobata-nminama-nenkinoho.
Saturday-ESSIgo-1SG.FUTcinema
나는 토요일에 영화관에 갈 것이다.

재격-도구격의 용법 : 수단

veps1250 Piterin2014:96
Otakirja-düks-i-n
take.IMPbooks-ACCone-PL-INST
책(들)을 한 권씩 가져가라!
veps1250 Piterin2014:96
Lizoiklei-bbumaglehtese-dkaks-i-n.
Lizaglue-3SG.PRSpapers-ACCtwo-PL-INSTRUCTIVE
리자는 종이들을 두장씩 붙인다.
doc/veps/2_wordclass/22_noun/22_noun.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4 22:56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