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vot:2_wordclass:23_verb:23_verb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23_verb : 동사 (verb) : 15% :

동사의 문법범주

동사의 주된 문법 범주는 인칭, 시제, 법, 태이다. 동사는 3개의 인칭과, 단수, 복수에 따라 활용한다. 시제는 현제, 불완료, 완료, 대과거와 미래 시제가 있다.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가능법 등 4개의 법이 있다. 인칭 형태와 무인칭 형태(능동태와 수동태)가 있다.

동사는 활용 유형에 따라 어간이 하나인 동사(항상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이 두 개인 동사(일부 형태에서 자음 어간도 가능)가 있다. 어간이 두 개인 동사 중 일부는 이른바 (어떤 형태에서 마지막 음절의 첫 자음이 떨어져 나감으로써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이 만들어지는) стяженные 동사이다.

동사 현재 시제

동사의 1인칭 단수 어미인 -n은 모든 시제, 모든 법에 나타난다. (오다 tue̮n 직설법 현재, tulin 직설법 과거, tuлe̮izin 조건법/가정법). 동부 방언에서는 이 어미 -n이 사라졌고, 동사 어간의 모음이 길어졌고, 장모음이 된 모음 앞에 오는 하나의 자음은 겹자음이 되었다. (tuл-лe̮: 오다. 1인칭현재, johsi: 뛰어가다. 1인칭과거)

동사의 1인칭 복수 어미는 -mma, -mma.이다. 크라콜리예 방언에서는 -mme̮, -mme와 모음이 약화된 -mmɒ, -mmä(뒤집힌), 동부방언에서는 -mmaG, -mmäG이다. 동사 2인칭 단수 어미는 -D, 복수 어미는 -tta, -ttä, -ttɒ, -ttä(뒤집힌), -tte̮, -tte이다. 동부방언에서는 -ttaG, -ttäG이다. 3인칭 단수 어미는 현재 시제는 -B, 과거 시제는 과거시제의 강단계 어간이다. сильноступенная основа. 3인칭 복수 어미는 -vaD, -va.이다. 3인칭 복수 대신에 무인칭 형태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naize̮t tuлti: 여자들이 왔다)

보트어의 현재시제는 특별한 표지가 없다. 인칭 표지는 동사의 어간에 직접 붙는다. 동사의 어간은 자음단계의 교체 규칙에 따라 강단계 어간과 약단계어간이 있다. (anna-n 주다.1인칭현재. anta-vaD 주다.3인칭현재)

동사의 불완료(imperfect), 완료(perfect), 대과거(pluperfect)

불완료는 3인칭 단수를 제외하고 현재 시제와 똑같은 인칭 어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 어미들은 이른바 과거시제 3인칭 단수 어간에 붙는다. 그러나 모든 동사의 3인칭 단수에서 불완료 표지인 -i, -zi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lei - leimmä

hit.3SG.PST - 1PL.PST

tetši - teimmä

do.3SG.PST - 1PL.PST

그러나 site̮ - sitozin

tie.3SG.PST - 1SG.PST

murtu - murtuzivaD

break.3SG.PST - 3PL.PST

(стяженные глаголы) viskazi, viskaZ, viske̮ - viskazimma
throw.3SG.PST - 1PL.PST

완료는 조동사 e̮лла(be)의 현재시제와 해당 동사의 과거형동사로 만들어진다.

e̮лe̮n anлannu

give.1SG.PST

e̮лe̮mma antannu:D

give.1PL.PST

대과거는 e̮лла 동사의 불완료와 이 동사의 과거형동사로 만들어진다.

e̮lin antannu

give.1SG.PST

e̮limma antannu:D

give.1PL.PST

동사의 미래시제

보트어의 미래시제로는 현재시제가 사용된다. 특별한 형태를 가지는 것은 e̮лла 동사의 미래시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동사 lid'd'ä 뿐이다.

doc/vot/2_wordclass/23_verb/23_verb.148965634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3/16 18:25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