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건절은 시제를 나타내지 못한다. 시제를 표현하는 경우에 '부동사 + 인칭소유접사 + буол' 구조로 실현된다. 본동사는 부동사 형태(-aр, -бат, -быт, -батах, -ыах)로 바뀌어 인칭소유접사가 결합된 후 буол-(되다) 동사가 연결된다.
접사 | 부정 | |||||
현재시제 | present | PRS | -а(р)/-ыы(р) + 인칭접사(II식) | |||
미래시제 | future | FUT | -ыа(단수) ~ -ыах(단수/복수) + 인칭접사(I식) | м + суох + 소유표지(3인칭단수)/ 불가능: -ыах + суох + 서술접사 | ||
과거시제 | 근접과거 | near past | PST.NEAR | -т + 인칭접사(I식) | недавнопрошедшее | |
완료 | (simple) past | PST | -быт + 인칭접사(I식) | преждепрошедшее | ||
결과과거 | resultative past | PST.RES | -быт + 인칭접사(II식) | прошедшее результативное |
완료-경험상 | EXPR | -быт + -таах + 인칭접사(II식) 또는 -быт + 인칭접사(I식) 또는 첨사 баар | -быт + 소유표지 + суох | прошедшее эпизодическое | |
과거비완망상 | past progressive | PST.PROG | -ар 또는 -ыр + э-(be)의 근접과거 | -бат + э + 소유표지 | прошедшее незаконченное |
원격과거 | past perfect (pluperfect) 과거완료(대과거) | PST.PERF | -быт + э-(be)의 완료 | давнопрошедшее |
- 원격과거는 가정의 의미로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