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yami: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1) 반모음 w/y의 추가

  • 단어 내부에서 앞 음절의 마지막 모음과 뒤 음절 첫 자리에 오는 모음 사이(즉 V.V의 형식을 가질 때)에 다음과 같은 음운 규칙이 적용된다.
동일한 고모음이면, 해당 고모음과 가장 가까운 반모음(y/w)을 첨가한다.
예: pisisiin> pisisiyin: 잘라내다
    anood>anowod: 노래
두 번째 모음이 고모음이면 발음상의 편리로 두 모음 사이에 해당 고모음과 가까운 반모음(y/w)이 첨가된다.
예: ai>ayi: 발
    tao-tawp: 사람
첫 번째 모음이 고모음일 때 두 모음 사이에도 반모음이 첨가된다.
 예: apia>apiya: 좋다
     moa>mowa: 심다
     sooen>soowen: 조명(照明)
만약에 두 모음이 상이한 고모음이면, 두 번째 모음의 음가에 가까운 반모음이 첨가된다.
예: kois>koyis: 돼지
    miovaovay> miwovoway: 귀거리
만약에 인접해 있는 두 모음이 모두 고모음이 아닌 경우, 비고모음인 h가 두 모음 사이에 참가된다.
예: aap>ahap: 가져가다
   citaen>citahen: 보다
   vean>vehan: 달
   zeed>zehed: 가래
고모음 i와 e 사이에도 비고모음 h가 첨가된다.
예: iepawan>ihepawan: 덜어주다
  • 단어 경계에 적용되는 음운 규칙
동일한 모음이 인접해 있을 때, 그 중 하나의 모음이 탈락된다.
예: adwa a ngernan > adwangernan : 20

(2) 구개음화

  • '/ /'를 사용할 때 해당 기호가 IPA 기호임을 나타낸다.

1) 치경 비음 /n/이 고모음 /i/ 앞에서 경구개 비음 /ɲ/으로 바뀐다. /n/ -> /ɲ/___/i/

예: nizpi: 돈
    maniring: 말하다
변음 /l/이 고모음 /i/ 앞에서 경구개 유성 마찰음 /lʒ/ 로 바뀐다. /l/ ->/lʒ/___/i/
예: lila: 혀
마찰음 /s/ 고모음 /i/ 앞에서 경구개 마찰음 /ɕ/로 바뀐다. /s/ -> /ɕ/___/i/
예: siko: 팔꿈치
일부 무성 마찰음이 고모음 /i/ 앞에서 무성 파찰음으로 변한다. /ɕ/ -> /tɕ/___/i/
예: si~ci: 만약에
치경 파열음 /d/와 /t/는 /i/앞에서 각각 경구개 유성 파찰음/dʒ/와 경구개 무성 파찰음 /tɕ/로 변한다.
  • 그러나 이 음운 규칙의 적용 범위가 줄어들었고, 일부 단어에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 또한 이러한 음운 규칙을 적용하는 것을 대신하여 아예 새로운 음소 /dʒ(j)/와 /tɕ(c)/를 사용하기도 한다. /d/ → /dʒ//i/; /t/ → /tɕ//i/

    예: tinon > cinon : 천을 짜다

파열음 /k/가 전설 고모음 /i/ 뒤 에 오면 경구개 파찰음 /tɕ/로 변한다. 그러나 이 규칙은 거의 사라졌고 특정 단어에만 적용하게 된다. /k/ -> /tɕ/ /i/___
예: wari: 제수 + kong: 안녕하세요 > wari cyong: 제수 씨 안녕하세요!

(3) 무성음화

  • 유성음 /v/가 /f/로 무성음화하기 시작하였다.

    예: vean → /fə:ɰan/: 달(月)

(4) 음절의 감소

  • 동일한 모음이나 자음이 탈락되어 음절수가 줄어든다.
  • 단어 경계 사이에 후두 파열음이 없어 동일한 모음, 또는 동일한 자음이 인접해 있을 때, 하나를 탈락시켜 발음하여 음절수가 줄어든다.

    예: asa a ka among > asakamong: 한 마리의 물고기

    kwan na > 그는 말한다.

(5) 장모음화

  •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장모음화가 일어나 '만', '도', '또'와 같은 강조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 yaken > yakéen: 나만

(6) 모음의 약화

  • 전설고모음, 후설고모음, 전설저모음이 끝에서 두 번째 음절(이 음절에 악센트가 없을 경우)에 있을 때 중 /ə/로 약화된다.

    예: tey-do-dwa → teydedwa: 사람 당 두 개

(7) 모음 /ə/의 생략

  • 중설중모음 /ə/가 끝에서 세 번째 음절(이 음절에 악센트가 없는 경우) /ə/가 생략된다.
  • 이러한 생략 현상은 중첩어에서 많은 일어난다.

    예: mivatevatek → mivatvatek: 학생

(8) 이중모음화

  • 인접하는 두 개의 모음이 이중모음화가 일어난다.
  • 이중모음화의 구체적인 현상은 다음과 같다.
인접하는 모음이중모음화 겪은 후실제 발음
ae eh əɰ ma-eni: 견고하다 pehzaen
ai ay > ey /əj/ ina-inapo: 조상 ineynapo
ao aw > ow /ow/ ota-ota: 구토 물질 otowta
eo ow /ow/ one-oned: 생각 onowned
eo ew /əw/ one-oned: 생각 onewned
ia ya /ja/ apia-pia: 비교적으로 좋다 apyapya
ie ih /iɰ/ maci-eralay: 휴대하다 macihralay
io yo jo/ icioy: 계란 icyoy
oa wa /wa/ avo-avong: 그림자 avwavong
oo ow /ow/ obo-obot-an: 화자실 obowbotan

(9) 이중모음의 고모음화

  • 이중모음 ay/aw가 고모음화를 겪어 ey/ow로 바뀐 후, 다시 iy/ow로 바뀔 수 있다.
  • 紅頭部와 漁人部에서 고모음화가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발화의 속도가 빠를 때만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 중부 지역에 속한 東淸部, 野銀部, 椰油部와 북부의 朗島部 지역에서는 고모음화는 해당 방언의 특색이 되었다.

    예: mangay → mangey → mangiy: 가다 araw → arew → arow : 태양

접사가 추가되거나 단어가 중첩이 일어나서 두 개의 모음이 인접하게 될 경우, /a/가 /ə/로 바뀌는 고모음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ia ie/iə/ 혹은 ihe /iɰə/ i-apawan: 경감하다 ihepawan
ae ee > eh /əɰ/ ma-eteng: 따뜻하다 mehteng
aa eh /əɰ/ mapa-abo: 마음에 두지 않다 mapehbo
aa ae /aə/ a-amyan: 매년 겨울 aemyan
aa ea /əa/ ka-akay : 친구 keakay
후접사 -en의 중의 모음 /ə/가 /j/ 뒤에 출현할 경우 /i/로 바뀐다. /j/는 후두 파열음 /ʔ/로 바뀐 경우가 있다. -en > -in /y_____
   예: pasakay + -en -> /pasakajin/pasakaʔin/: 올려놓다
mey-는 紅頭部와 漁人部에서 이중모음 ey가 고모음 i가 된다.
   예: meyvazay -> mivazay: 일하다

(10) 저모음화

  • 권유법/명령법 표지 -i가 저모음화되어 복모음 ey가 되는 경향이 있다.

    예: kadkad + -i → /kadkadəj/: 가려운 곳을 긁어 준다.

  • /o/가 연구개 비음 ng 앞에 출현할 때 후설원순중모음 /o̠/로 발음될 수 있다.

    예: among: /amo̠ng/

  • 선행하는 자음(y, z, d)의 영향으로 저모음화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예: mayo̠kay: 깨져 있는 zo̠kzo̠k: 넘어지다 do̠: 처격 표지

  • /o/는 다른 환경에서 /u/로 나타난다.

(11) 자음 h (실제 음가 /ɰ/)의 첨가

  • 모음 /e/가 다른 모음과 인접할 때 예측 가능한 자음 추가가 일어날 수 있다.

    예: i.epawan > ihepawan: 감소하다 a.emyan → a.hemyan: 매년 겨울

  • /a/가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h가 그들 중간에 첨가하여 음절을 구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 a.apen → a.hapen: 가지다 asaa → asa.ha: 하나만 있다.

(12) 자음의 탈락

  • 후두 파열음 ʔ는 다른 단어나 접사와 인접할 때, 탈락되기도 한다.

    예: a'o → ao → ow, a'a → aa →a 'oya: 화나다 + ma-… -en: 매우 잘 → ma'oya'oyaen /mowyowyaen/: 매우 화가 잘 난다.

(13) 모음의 탈락

  • 일부 어근이 중첩될 때 혹은 새로운 단어를 형성할 때 악센트가 없는 음절의 모음이 탈락된다.

    예: ma-le-: 모두 매우 + lema:게으르다 → malelma: 모두 매우 게으르다.

(14) 비음으로 끝나는 접사가 어근과 결합할 때 동화가 일어날 수 있고 동화가 일어나면 어근의 첫 자음이 탈락된다.

  • 아래에 표시된 {N} 중의 { }는 발음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출현하는 환경에 따라 변화함을 의미하고, 해당 음소가 대문자로 표현된다.
{N} -> /m/_/p, b, v/

예: 접사 maN-:

yami1254 hedehua2018:25
  • maN-: 접두사 + pili: ? → mamili: 선택하다
{N} -> /n/_/t, d, r, s, c/
yami1254 hedehua2018:25
  • maN-: 접두사 + rotong: ? → manotong: 삶다
{N} -> /ng/_/k/
yami1254 hedehua2018:25
  • maN-: 접두사 + kaod: ? → mangaod: 노를 젓다
{N} -> /ng/_/모음/
  • 뒤에 오는 어근이 모음으로 시작할 경우 해당 모음과 바로 결합한다.
yami1254 hedehua2018:25
  • maN-: 접두사 + item: ? → mangitem: 비밀번호를 설정하다/암호화하다
  • 접두사 maN-는 다른 환경에서 나타날 때 원래의 모습인 man-으로 나타나고 그의 뒤에 오는 어근도 원래의 모습을 유지한다.
yami1254 hedehua2018:26
  • man-zogazoga: 미친개
  • man-langi: 좁살을 베다
  • man′agant: 들다
doc/yami/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7 15:03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