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yami:4_ss:44_stype:stype_q

stype_q : 의문문 (interrogative sentence)

  • 의문문에 의문사를 가지는 의문문과 의문사를 가지지 않는 의문문으로 나눌 수 있다. 후자는 다시 YES/NO 의문문과 선택의문문으로 나눌 수 있다.

1) 의문사 대명사가 쓰이는 의문문

sino '누구'
  • sino는 수와 격의 변화가 있다.
단수복수
NOMsinosirano
GENninonirano
LOCjinojirano
yami1254 hedehua2018:171
siranoomonitorwan(ni-toro-an)nowakay?
who.NOM.PLNOM2SG.GENPST.PFV-give.CF(PST.PFV-give-CF)GENsweet.potato
너는 고구마를 어떤 사람들에게 줬어?
ajin~jino: 어느 것, 어디,
  • ajin~jino도 격변화를 가진다.
yami1254 hedehua2018:171
  • do:LOC+ jino: 어디 → do jino: 어디에(서)
  • o: NOM + ajin: 어디 → wajin:어디.NOM
yami1254 hedehua2018:172
ajinomoitehk-an?
whereNOM2SG.GENsleep-CF
너는 어디서 잘 거야?
yami1254 hedehua2018:172
kam-angayjino?
2SG.NOMAF-gowhere
너는 어디 갈 거야?
yami1254 hedehua2018:173
kani-m-apodoajin?
2SG.NOMPST.PFV-AF-sourceLOCwhere
너 어디서 왔어?
ikong 'what'
  • ikong 뒤에 주격 표지 o가 많이 붙어서 ikongo가 what를 의미하는 새로운 의문대명사가 되었다.
  • ikongo가 문두에 출현할 때 격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장 중간에 출현할 때 격 표지를 취한다.
  • ikong은 why의 의미를 나타낼 수도 있다.
yami1254 hedehua2018:173
ikongoya?
whatNOMPROX
이게 뭐야?
yami1254 hedehua2018:174
nai-panazang(i-paN-sazang)imonoinamosoikongo.
3SG.GENCF-CAUS.buy(CF-CAUS-buy)2SG.NOMGENmother2SG.GENOBLwhat
너의 어미님께서 무엇을 사주셨어?
ajin jito 'which/wat kind'
  • ikong do jito는 눈에 보이는 물건들 중에서의 '어느 것'
yami1254 hedehua2018:174
ajinjitoomoi-ka-kza?
whichDIST.LOCNOM2SG.GENCF-STAT-like
어떤 게 좋아해?
yami1254 hedehua2018:175
ikongomoi-ka-kzadojitoakanen?
whatNOM2SG.GENCF-STAT-likeLOCDIST.LOCCOPfood
어느 요리를 좋아해?
  • 눈에 안 보이는 물건들 중에서 선택할 때 do jito를 사용할 수 없다.
yami1254 hedehua2018:175
ikongomoi-ka-kzaakanen?
whatNOM2SG.GENCF-STAT-likeCOPfood
너는 먹는 것 중에서 어떤 것을 좋아해?

2) 의문 동사가 쓰이는 의문문문

ngo '무엇을 하다'
yami1254 hedehua2018:175
kaman-ngododang?
2SG.NOMAF-do.whatLOCthere.LOC
너는 저기서 뭐해?
kong~kongo 'how'
  • 문두에 출현하여 술어로 쓰일 수도 있고 문중에 출현하여 초점표지가 결합할 수도 있다.
yami1254 hedehua2018:176
kongkwannadociri~ciringnodehdehowakay?
howsay3SG.GENLOCRECP~wordGENout.of.stateNOMsweetpotato
"wakay"를 국어로 어떻게 말해요?
yami1254 hedehua2018:176
yani-ma-kongooaimo.
2SG.NOMPST.PFV-PF.능력-howNOMfoot2SG.GEN
네 발이 어떻게 된 거야?
why를 나타내는 방법
  • why를 나타내는 방법은 세 가지다.
'ikong+ 동사-처소 초점 표지'로 why를 나타낸다.
yami1254 hedehua2018:177
ikongni-bakbak-annajimo?
whatPST.PFV-beat-CF3SG.GEN2SG.LOC
그가 그때 왜 너를 때렸어?
'동사-초점 표지'로 why를 나타낸다.
  • why 의문문을 표현할 때 ikong이 생략이 가능하다.
yami1254 hedehua2018:178
moi-ai?
2SG.GENCF-come
너 왜 왔어?
yami1254 hedehua2018:178
mojiani-m-angay-i?
2SG.GENNEGPST.PFV-AF-go-CF.SBJV
너는 왜 안 갔어?
원망할 때 사용하는 '왜'의 표현 방법
  • 원망을 표현할 때 ikong를 생략할 수 있고, 동사에 초점 표지 -an만 붙으며 피동작주가 다양한 격표지를 사용할 수 있다.
yami1254 hedehua2018:178
moavay-ansya?
2SG.GENcurse-CF3SG.OBL
왜 그녀한테 욕을 해?
yami1254 hedehua2018:179
mokaro-anjya?
2SG.GENleave-CF3SG.LOC
너는 왜 그 사람을 떠나?
apira 'how many/how much (things)', papira 'how many (people)'
  • apira와 papira는 모두 문두에 출현하여 술어로 쓰일 수 있다.
yami1254 hedehua2018:179
yaapiraonizpimo?
3SG.NOMhow.muchNOMmoney2SG.GEN
돈이 얼마나 있어?
yami1254 hedehua2018:179
yaapiraoanakna?
3SG.NOMhow.manyNOMchild3SG.GEN
그는 애기 몇 명 있어?
  • apira에는 초점 표지와 TAM 표지가 붙을 수 있다.
yami1254 hedehua2018:180
kamaka-piraaarawranaayani-azidangdang
2SG.NOMAF.능력-how.manyCOPdayalreadyCOPAUXPST.PFV-have.fever
너 몇 일 동안 열났어?
nokango/simango/nomango 'when'
  • noka-ngo: 과거의 어느 시간 지점
  • sima-ngo: 가까운 미래의 어느 시간 지점
  • noma-ngo: 먼 미래의 어느 시간 지점
yami1254 hedehua2018:182
noka-ngooka-aimo?
in.the.past-whenNOMPST-come2SG.GEN
너 언제 왔어?
yami1254 hedehua2018:182
sima-ngoam,kam-ai?
near.future-whenTOP,2SG.NOMAF-come
너 언제 올 거야?
yami1254 hedehua2018:182
noma-ngoam,m-aikapa?
far.future-whenTOP,AF-come2SG.NOMstill
너 언제 또 올 거야?

3) 의문 조사가 쓰이는 의문문

  • 야미어의 의문문은 다음과 같이 있다.
  •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에서 의문사가 문두에 오고 주어는 명사나 명사구의 형태로 출현하여 문말에 위치한다.
  •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의 어순은 평서문과 동일하고 이때 문말의 억양이 올라간다.
  • 의문 조사는 의문문 뒤에 와서 답을 재촉하는 용도로 쓰인다.
an
  • 답을 재촉하는 용도로 쓰이는 an는 생략이 가능하다.
yami1254 hedehua2018:184
y-ai,án?
2SG.GENCF-comeQ
너는 뭐하러 왔어? 어?
  • 그러나 다음과 같은 용법 중 an이 생략이 불가능하다.
  • 이때 an는 요청하는 의미, 허락을 구하는 의미를 나타낸다.
yami1254 hedehua2018:184
m-aikaan?
AF-come2SG.NOMQ?
너 와도 돼?
ang
  • 상대방이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것에 대해 (발화 시점에 비교적으로 가까운 일인데)기억 안 나냐고 묻는 것을 나타낸다.
yami1254 hedehua2018:185
koni-i-pancijimóang?!
1SG.GENPST,PFV-CF-say2SG.LOCQ
내가 방금 말했잖아(기억 안 나)?
syo
  • 상대방이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것에 대해 (발화 시점에 비교적으로 먼(어제 이전) 일이지만)기억 안 나냐고 묻는 것을 나타낸다.
yami1254 hedehua2018:186
ni-kankanasyo?!
PST.PFV-eat2SG.NOMalreadyQ
너는 적은 적이 있자나?
doc/yami/4_ss/44_stype/stype_q.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3:22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