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yami:4_ss:45_wo:45_wo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1) 문장의 어순

  • 가장 기본적으로 어순으로 술어 문장 맨 앞에 오고 주어가 문장의 맨 마지막에 놓인 것이다. 문장이 나타내는 사건이 오랜 전(과거)에 발생하거나 앞으로 발생할 것임을 나타낼 때 동사가 문두에 놓이고 동작주를 나타내는 명사가 뒤에 놓인다.
  • 만약에 문장에 조동사가 있을 경우, 조동사는 본동사 앞에 놓인다.
  • 그러나 만약에 동작주가 대명사일 경우, 해당 대명사가 반드시 조동사 뒤에 놓여야 다.
  • 만약에 문장에 조동사, 동사, 부사 na(이미)/pa(오직)가 동작주를 나타내는 명사와 함께 출현할 때, 조동사는 반드시 맨 앞에 놓이고, 동사와 부사의 위치는 환경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명사는 동사나 부사의 뒤에 출현한다.
  • 만약에 문장이 중행중이거나 매우 가까운 과거에 발생한 일을 나타낼 경우, 동작주를 나타내는 대명사 혹은 문장에서 유일하게 주격을 가진 대명사가 동사/조동사의 앞에 놓인다.

1) 평서문의 어순

yami1254 hedehua2018:60
kansowakaysiSalang.
eatOBLsweetpotatoNOMSalang
Salang이 고구마를 먹는다(직역: 고구마를 먹는 사람이 Salang이다.).
yami1254 hedehua2018:61
kan-ennaniSalangowakay.
eat-PF3SG.GENGENSalangNOMwakay
고구마를 Salang이 먹으라고 주었다(직역: Salang이 먹는 것이 고구마이다.).
yami1254 hedehua2018:61
kankosowakay.
eat1SG.NOMOBLsweetpotato
나는 고구마를 먹고 싶다./(선택할 때)나는 고구마를 먹을 것이다.
yami1254 hedehua2018:61
kokansowakay.
1SG.NOMeatOBLsweetpotato
나는 고구마를 먹고 있다.
yami1254 hedehua2018:62
koni-kanranasowakay.
1SG.NOMPST.PFV-eatalreadyOBLsweetpotato
나는 방금 고구마를 먹었다.
yami1254 hedehua2018:62
ni-kankoranasowakay.
PST.PFV-eat1SG.NOMalreadyOBLsweetpotato
나는 예전에 고구마를 먹어 봤다.

2) 평서문의 부정형

- 조동사 ji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 먼 과거나 미래의 일일 경우 ji는 본동사 앞에 오고 대명사가 그의 뒤에 바로 온다. - 그러나 만약에 진행중인 일이나 매우 가까운 과거에 완성된 일을 나타낼 때 주어가 문두에 온다.

yami1254 hedehua2018:62
kojimaka-itkeh
1SG.NOMAUX.NGEcan.AF-sleep
나는 (잠을) 잘 수 없다.
yami1254 hedehua2018:62
jikami-yakansoamong,tama-ingenovelekmo.
AUX.NEG2SG.NOMAF-eatOBLfish,becauseSTAT-be.painfulNOMbelly2SG.GEN
너는 생선을 먹지 마, 배가 아플 테니까.
yami1254 hedehua2018:63
jyainom!
NGEdrink
물을 마시지 마!

4) 의문문의 어순

  •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에서 의문사가 문두에 오고 주어는 명사나 명사구의 형태로 출현하여 문말에 위치한다.
  •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의 어순은 평서문과 동일하고 이때 문말의 억양이 올라간다.
yami1254 hedehua2018:64
íkongooyamoni-ma-cita?
whatNOMAUX2SG.GENPFV-PF-see
너는 무엇을 봤어(직역: 무엇이 네가 보는 것이냐?)?
yami1254 hedehua2018:64
mi-iopkasoasoy?
AF-drink2SG.NOMOBLsoup
너 국물을 마실래?

5) 존재문

  • 존재 동사 myan~amyan '있다'와 abo '없다'는 문두에 놓이고 주어는 그의 뒤에 출현한다.
yami1254 hedehua2018:65
yam-iandovaaydaomavakes.
AUXAF-EXISTLOChome3PL.GENNOMwoman
그 여자는 그들의 집에 있다(직역: 그들의 집에 있는 사람은 그 여자이다.).
yami1254 hedehua2018:65
yaabodovaaydaomavakes.
AUXAF-EXIST.NEGLOChome3PL.GENNOMwoman
그 여자는 그들의 집에 없다(직역: 그들의 집에 없는 사람은 그 여자이다.).
  • 존재 동사는 새로운 화제를 도입하는 기능이 있다. 사격 표지로 주격 표지를 가지지 않은 명사구를 화제로 문장에 편입시킨다.
yami1254 hedehua2018:65
yam-iamsokoi-pancijimo.
AUXAF-EXISTOBL1SG.GENCF-say2SG.LOC
나는 너에게 할 말이 있다.

5) 주제문

  • 주제가 문두에 놓일 때 주격 표지가 반드시 선행해야 한다.
yami1254 hedehua2018:66
orarakeham,lisna.okanakanam,tanek.
NOMold.peopleEXCLAMsit,NOMchildEXCLAMstand
노인은 앉아 있고, 아이는 서 있다.

(2) 명사구의 어순

  •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놓인다.

1) 형용사가 수식어가 아닌 경우 어순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있다:

격표지+피수식 명사+소유 인칭대명사+ 지시사
yami1254 hedehua2018:67
oayonkoori.
NOMclothes1SG.POSSMED.one
나의 그 옷
수사+ 접속사(a ka)+피수식 명사
yami1254 hedehua2018:67
asaa.kaamong
oneCOMfish
생선 한 마리

2) '형용사'가 수식어인 경우

  • 야미어에는 형용사라는 품사가 없다.
  • 의미를 해석할 때 수식어가 형용사의 의미로 해석되지만 실제로 품사가 명사나 상태 동사이다.
  • 이 부류의 어순은 두 가지가 있다.
형용사+繫詞a+피수식명사
yami1254 hedehua2018:67
rajoavaay.
bigCOPhouse
큰 집
조동사+상태동사+繫詞a+피수식 명사
yami1254 hedehua2018:67
yakenoyama-lavangaayobori.
1SG.NOMNOMAUXSTAT-whiteCOPclothesMED.one
그 하얀 옷은 내 거야.

(3) 명사 술어의 어순

1) 명사가 술어로 쓰일 때

  • 술어가 되는 명사가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지 않은 경우 즉 비한정적으로 쓰일 때 문장의 어순은 다음과 같다.
yami1254 hedehua2018:68
sinsioya.
teacherNOMPROX
이분은 선생님이시다.
  • 술어가 되는 명사가 특정한 사람(흔히 사람의 이)이나 사물을 가리킬 때로 격 표지로 그의 한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문장의 어순은 다음과 같다.
yami1254 hedehua2018:68
siSalangko.
NOMSalang1SG.NOM
나는 Salag이다.
  • 속격 대명사가 피소유주와 함께 출현할 때 소유 관계가 매우 분명하기 때문에 격 표지를 따로 사용하여 한정적 의미를 나타내지 않아도 된다.
yami1254 hedehua2018:68
kagagankosiLikdem.
friend1SG.GENNOMLikdem
Likdem은 내 친구이다.
  • 이 예문에는 kagagan ko'나의 친구'는 술어로 쓰였다. 이 들 앞에 격 표지를 따로 붙여 한정적 의미를 나타내지 않았다.

(4) 동사 술어의 논항의 배열 순서

  • 우선 과거와 미래를 나타낼 때 문장의 어순이 현재 진행과 매우 가까운 과거를 나타낼 때의 어순과 다른데, 여기서 미래와 과거를 나타내는 문장의 어순을 제시한다.
  • 타동사의 주어는 A로, 타동사의 목적어는 O로, 자동사의 주어는 S로 표시한다. 주어와 목적어 이외의 다른 명사나 명사구 논항은 E로 표시한다.
  • 동사가 논항을 하나를 가질 경우 문장은 VS 어순을 가진다.
  • 동사가 논항을 두 개를 가질 때 문장에 쓰이는 동사가 자동사일 경우 VES 어순, 타동사일 경우 VAO 어순을 가진다.
  • 동사가 논항을 세 개를 가질 때 문장은 VAOE 어순을 보인다.
논항이 하나인 경우
  • 자동사는 문두에 오고 주어는 그의 동사 뒤에 온다.
yami1254 hedehua2018:70
om-olikosumararaw.
AF-home1SG.NOMnoon
나는 점심 때 집에 간다.
yami1254 hedehua2018:70
má-bsoykona.
STAT-be.full1SG.NOMalready
나는 이미 배가 불렀다.
논항이 두 개인 경우
VES 어순을 보이는 자동사가 두 개의 논항을 가지는 경우
  • 자동사가 두 개의 논항을 가질 때 하나는 주격 표지를 취하는 주어이고, 나머지 하나는 동사에 따라 사격이나 처격 표지를 취한다.
  • 만약에 주어가 인칭대명사일 경우, 인칭대명사가 동사 뒤에 바로 온다. 즉, VSE 어순을 보인다.
yami1254 hedehua2018:71
ni-kansokadaiokankan.
PST.PFV-eatOBLmilletNOMchild
아이가 좁쌀을 먹어봤다.
yami1254 hedehua2018:71
kankasowakay?
eat2SG.NOMOBLsweetpotato
너 고구마 먹을래?
VAO 어순을 보이는 타동사가 두 개의 논항을 가진 경우
  • 타동사의 동작주가 속격을 취하고 피동작주가 주격을 취한다.
  • 동작주가 피동작주의 앞에 온다.
yami1254 hedehua2018:72
kala-ennokanakanoino.
find-PFGENchildNOMdog
아이가 개를 찾는다.
  • 타동사의 두 개 논항이 모두 인칭대명사일 경우, 속격형을 취한 동작주가 동사 뒤에 오고, 피동작주를 나타내는 대명사가 주격형을 취하되 교착형과 독립형 중 교착형이 아니라 동립형을 취하며, 피동작주가 동작주 뒤에 온다.
yami1254 hedehua2018:72
koannaimo?
say3SG.GEN2SG.NOM
그는 나한테 뭐라고 했어?
  • 만약에 동작주가 명사구일 경우, 일치 관계를 나타내는 대명사의 속격형(아래 예문의 경우 na)이 동사에 뒤에 온다.
yami1254 hedehua2018:73
i-pancinaimoniinamo.
CF-call3SG.GEN2SG.NOMGENmother2SG.GEN
네 엄마가 너를 부를 거야.
  • 진행중인 사건을 나타내려면 해당 대명사의 속격형이 동사 앞에 와야 한다.
yami1254 hedehua2018:73
nai-panciimoniinamo.
3SG.GENCF-call2SG.NOMGENmother2SG.GEN
네 엄마가 너를 부르고 있어.
논항이 세 개인 경우
  • 타동사가 세 개의 논항을 가질 때 동작주는 속격, 피동작주는 주격, 나머지 하나는 동사에 따라 사격이나 처격을 취한다. 사격이나 처격을 취하는 제3의 논항은 불특정적 용법으로 쓰인다.
  • 만약에 세 논항이 모두 일반 명사인 경우 세 논항의 배열순서는 구정보-신정보의 순서로 배열되고, 만약에 세 논항 중 대명사가 있을 경우, 대명사는 다른 명사 앞에 출현한다.
yami1254 hedehua2018:73
ni-panba(←ni-i-paN-tba)nanotaoozaignasokayo.
PST.PFV-CF.CAUS.cut(←PST.PFV-CF-CAUS-cut)3SG.GENGENpeopleNOMax3SG.GENOBLtree
어떤 사람은 그의 도끼로 나무(불특정적 용법)를 배었다.
yami1254 hedehua2018:74
i-pa-citanadomavakesokaramnomeakay.
CF-CAUS-look3SG.GENLOCwomanNOMmouseGENman
남자는 여자에게 쥐를 보여준다.

(5) 조동사가 쓰인 문장의 어순

  • 조동사로는 ji, to, ya가 있다.
  • 조동사가 쓰이는 문장에서 동사가 역시 문두에 놓이고 주어가 동사 뒤에 놓인다. 예(a)참조
  • 문장에 인칭 대명사의 교착형이 있을 경우, 해당 대명사가 조동사 뒤에 바로 온다. 예(a)참조
  • 조동사 뒤에 출현하는 본동사는 형태상의 변화를 겪을 수 있다. 예(a)참조
  • 동사가 세 개의 논항을 취할 경우, 속격을 취하는 대명사가 조동사 뒤에 바로 온다. 즉, 이때 문장의 어순도 속격을 취하는 성분이 주격을 취하는 성분의 앞에 오는 규칙을 준수한다. 예(b)참조
  • 예(a)
yami1254 hedehua2018:75
tonanita(N-cíta-a)yakena.
AUX3SG.GENlook.at.PF.SBJV(SBJV-look.at-PF.SBJV)1SG.NOMPTCL
그는 나를 쭉 지켜봤어.
  • 예(b)
yami1254 hedehua2018:75
tomorananoroan(N-toró-an)jyakenovonongnikaka.
AUX2SG.GENalreadygive.CF.SBJV(SBJV-give-CF.SBJV)1SG.LOCNOMportionGENelder.sibling
너는 그러면 우리 형의 몫을 나한테 줘!
조동사 ya
  • 지시사 ya가 조동사로 문법화되었기 때문에 jo, ji, to와 마찬가지로 문두에 온다.
  • ya는 시간과 장소가 화자에게 가깝다는 의미와 발생한 사건에 대한 배경을 제시한다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 ya 뒤에 오는 주동사가 어형상의 변화를 겪지 않는다.
yami1254 hedehua2018:78
yam-airanaokoisnyo.
AUXAF-comealreadyNOMpig2PL.GEN
너희들의 돼지가 왔어!
yami1254 hedehua2018:78
yakoma-omangrananovinyay.
AUX1SG.NOMAF-be.sick.ofalreadyGENmeat
나는 고기를 싫어할 정도로 먹었다.
부사적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의 조동사 용법
  • 부사적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가 문두에 와 조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조동사와 동사가 계사 a로 연결된다.
  • ala'ㄹ 수 있다/가능하다', apia '어도 되다', oyod '정말로', adan'아니'는 그 예이다.
yami1254 hedehua2018:78
oyodajikoa-vyayya?
reallyCOPAUX1SG.NOMSBJV.STAT-be.alivePROX
나는 정살로 살아날 수가 없어?
doc/yami/4_ss/45_wo/45_wo.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1/22 23:17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