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yugur-east:2_wordclass:36_ptcl:36_ptcl

36_ptcl : 첨사(particle)

동부요고르어의 첨사로는 판단어기조사, 진술어기조사, 의문어기조사, 강조어기조사, 환기어기조사 등이 있다.

판단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판단어기조사로는 'bai', 'wai', 'be', 'we' 등이 있다.

정태적인 서술어나 형동사, 부동사 서술어 뒤에 나온다.

'bai', 'be'는 b, d, ɢ,ɡ, n, m, ŋ 등의 자음 문미 단어 뒤에 나온다.

'wai', 'we'는 기타 자음과 모음 문미 단어 뒤에 나온다.

'be', 'we'는 발화자 본인 혹은 발화자가 대표하는 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신분 특징, 행위 동작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bai', 'wai'는 타인이나 타인의 물건, 혹은 타인이 대표하는 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신분 특징, 행위 동작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be'를 사용한 예는 다음과 같다.

east2337 zhaonasitu2006:412
bumededeɡbe
1SGNEGknowPTCL
나는 모르는 일이다

'wai'를 사용한 예는 다음과 같다.

east2337 zhaonasitu2006:412
dereboʁonəwai
pillowlowPTCL
베개가 낮다

진술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진술어기조사로 'bam', 'wam','bamna', 'wamna'가 있다.

정태적 서술어와 형동사(形動詞) 서술어 뒤에 나온다.

east2337 zhaonasitu2006:412
enepessainbam(na)
thisclothgoodDEC
이 천은 좋다

의문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의문어기조사로 'u', 'ju', 'bə','wə','ja','ba','ʃa' 등이 있다.

'u', 'ju'는 진술문과 판단어기조사를 표지로 하는 판단문 뒤에 나온다.

'u'는 자음과 단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나오는데, 단모음은 이 때 탈락하게 된다.

'ju'는 장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나온다.

판정 의문문

east2337 zhaonasitu2006:413
mudʒaŋb(e)u
carpenterisQ
목공입니까?

정반 의문문

east2337 zhaonasitu2006:413
tʃəmadəqudaʁabiiju,uɤuiju
2SGswordhaveQdon't.haveQ
너는 칼이 있니? 없니?

설명 의문문

east2337 zhaonasitu2006:413
tanəjasənima
2SGbonewhatQ
당신은 성이 무엇입니까?

강조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강조어기조사로 'wəile', 'ʃo', 'la', 'da', 'mada' 등이 있다.

'wəile', 'ʃo'는 문미에 사용한다.

'la', 'da', 'mada'는 강조어기의 문장 성분 뒤에 사용한다.

east2337 zhaonasitu2006:413
buχanamadajawəwa
1SGanywhereINTNEGgo
나는 아무데도 가지 않았다

환기어기조사

동부요고르어의 환기어기조사로 'dʒoo'가 있다.

east2337 zhaonasitu2006:413
aidmula,naadənoχɢuidəpudəʐeele,tʃəmindʒuuχɢəwamdʒoo
EXCLAMchildheredogPROHoffend2SGbiteDECPTCL
어이, 아이야, 너 이 개를 화나게 하지 마라, 이 개가 너를 물 거야.
doc/yugur-east/2_wordclass/36_ptcl/36_ptcl.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1/08/26 09:30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