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은 샵(#)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 샵의 개수가 제목의 단계를 표시합니다. 1단계부터 6단계까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 제목1 ## 제목2 ### (1) 제목3 #### 1)제목4 ##### ① 제목5 ###### a. 제목6
각 문서의 최상위 제목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용례 라이프치히 스타일로 주석을 단 용례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nene1249는 툰드라 네네츠어의 glottolog 코드입니다. 참고문헌에는 영문자(대소문자 구별없음)와 숫자와 언더스코어(_)만을 이용한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고 콜론 뒤에 페이지를 입력합니다.
Небя-в | мя-кӑнанда | яӈгу |
mother-1SG | tent-LOC.3SG | be.NEG |
위와 같이 입력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eg>nene1249 (Tereshchenko1966:382) Небя-в мя-кӑнанда яӈгу mother-1SG tent-LOC.3SG be.NEG 나의 어머니는 자신의 천막에 없다. (Моей матери нет дома.) }}} ## 목록 어떤 항목들을 나열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이용합니다.
- 하나 - 둘 - 셋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기 표시됩니다. - 하나 - 둘 - 셋 ## 표 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셀 병합과 같은 기능은 없습니다.
1.SG | 1.PL.EXCL | 1.PL.INCL | |
NOM | bi | be | muse |
GEN | mini | meni | musei |
DAT | minde | mende | musede |
ACC | mimbe | membe | musebe |
ABL | minci | menci | museci |
```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1.SG | 1.PL.EXCL | 1.PL.INCL | |
NOM | bi | be | muse |
GEN | mini | meni | musei |
DAT | minde | mende | musede |
ACC | mimbe | membe | musebe |
ABL | minci | menci | museci |
음성 기호는 XSAMPA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자음은 조음위치, 조음방법, 음소의 세 컬럼으로 입력한다.
bilabial | plosive | p_h, b, p_j, p_h_j |
bilabial | nasal | m, m_j, m_0, m_0_j |
coronal | plosive | t_h, d |
coronal | nasal | n |
모음
고저 | 전후 | 원순 | 음소 |
high | front | unrounded | 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