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guide:wiki_syntax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문서 작성법

  • 들여쓰기는 하지 마십시오. 스페이스로 행을 시작하지 마십시오.
  • 단락과 단락 사이에는 빈 행을 하나 두십시오.

제목

제목은 샵(#)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 샵의 개수가 제목의 단계를 표시합니다. 1단계부터 6단계까지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 제목1
## 제목2
### (1) 제목3
####  1) 제목4
##### ① 제목5
###### a. 제목6

지정 제목: 1단계 및 2단계

  • 제목 1단계와 2단계는 미리 정해진 유형 기술 주제의 제목에서만 사용합니다. 즉, 독립된 문서의 최상위 제목에만 해당합니다.
  • 개인 작업자는 1단계와 2단계 제목을 임의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두자리 번호가 부여된 모든 유형 기술 문서는 1단계 제목으로 시작합니다. 일부 세분이 필요한 주제의 경우 2단계 제목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각 문서의 최상위 제목은 1단계 또는 2단계 제목이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문서코드 : 한글 제목 (영문 제목) : 작업진행율 : 메모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11_cons :  자음 (consonant)  : 50% : 용어 검토 필요

사용자 제목: 3단계 ~ 6단계

  • 작업자는 한 문서 내부에서 내용을 구분하기 위하여 3단계부터 6단계까지 제목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번호를 부여한다면 위의 방식으로 하되 반드시 번호를 붙일 필요는 없습니다.
  • 3단계 제목과 4단계 제목은 절 단위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문서의 내용에 구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 5단계 제목과 6단계 제목은 표, 용례, 어휘 목록 등 단일한 항목을 구분하는 데에 사용합니다.
  • 5단계 제목은 간결하고 명확한 제목을 붙일 수 있는 경우에 사용합니다. 주로 긴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인칭체계표, 격변화표 등과 같이 형식이 정해진 표가 전형적인 대상입니다.
  • 6단계 제목은 간결한 제목을 붙이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주로 어떤 설명에 예시된 하나의 용례에 함축적으로 제목을 붙이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합니다.

용례

용례 주석에 관한 상세 지침은 주석 규칙 참조.

라이프치히 스타일로 주석을 단 용례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eg>언어코드 (참고문헌코드:페이지)
분석행
주석행
번역행
}}}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nene1249는 툰드라 네네츠어의 glottolog 코드입니다. 참고문헌에는 영문자(대소문자 구별없음)와 숫자와 언더스코어(_)만을 이용한 고유한 코드를 부여하고 콜론 뒤에 페이지를 입력합니다.

{{{eg>nene1249 (Tereshchenko1966:382)
Небя-в       мя-кӑнанда       яӈгу 
mother-1SG  tent-LOC.3SG    be.NEG
나의 어머니는 자신의 천막에 없다. (Моей матери нет дома.)
}}}

위와 같이 입력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nene1249 Tereshchenko1966:382
Небя-вмя-кӑнандаяӈгу
mother-1SGtent-LOC.3SGbe.NEG
나의 어머니는 자신의 천막에 없다. (Моей матери нет дома.)

목록

어떤 항목들을 나열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이용합니다.

- 하나
- 둘
- 셋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 하나

어휘 목록 입력 방법

  • sweet potato : 고구마
  • potato : 감자

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 1.SG    ^ 1.PL.EXCL ^ 1.PL.INCL ^
| NOM | bi      | be        | muse      |
| GEN | mini    | meni      | musei     |
| DAT | minde   | mende     | musede    |
| ACC | mimbe   | membe     | musebe    |
| ABL | minci   | menci     | museci    |
  • 컬럼은 |를 이용하여 구분하고 각 칸의 내용과 |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공백을 넣습니다.
  • 표의 각 컬럼의 제목 행은 ^ 기호를 이용하여 구분합니다.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1.SG 1.PL.EXCL 1.PL.INCL
NOM bi be muse
GEN mini meni musei
DAT minde mende musede
ACC mimbe membe musebe
ABL minci menci museci

정렬

각 칸의 내용을 왼쪽, 가운데, 오른쪽 정렬을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입력이라는 관점에서는 큰 의미가 없으므로 항상 왼쪽 정렬만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 left  |  center  |  right |
| 왼쪽  |  가운데  |  오른쪽 |
  • 공백을 두 개 이상 넣어서 정렬의 형태를 바꿀 수 있습니다.
  • 가운데 정렬: 양쪽 모두 공백이 두 개 이상
  • 왼쪽 정렬: 왼쪽에는 공백 하나, 오른쪽에는 공백 하나 이상. (왼쪽 정렬이 기본 형태)
  • 오른쪽 정렬: 오른쪽에는 공백 하나, 왼쪽에는 공백 둘 이상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left center right
왼쪽 가운데 오른쪽

칸 합치기

칸 합치기는 경우에 따라 보기 좋을 수는 있으나 표의 내용을 분해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려고 할 때에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미리 합의된 경우에만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여러 개의 칸을 합쳐서 하나의 칸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열을 구분하는 세로막대 |를 공백없이 연달아 사용하면 됩니다.

| merged   |||||
| a | 합치기 || 합치기 ||
| 가 | 나 | 다 | A | B |

위와 같이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merged
a 합치기 합치기
A B
guide/wiki_syntax.152021161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3/05 10:00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