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 b_< c d d` d_< e f g g_< h h\ i j j\ k l l` l\ m n o p p\ q r r` r\ s s` s\ t u v v\ w x x\ y z z` z\
A B B\ C D E F G G\ G\_< H H\ I I\ J J\ J\_< K K\ L L\ M M\ N N\ O O\ P Q R R\ S T U U\ V W X X\ Y Z
0 1 2 3 4 5 6 7 8 9 0 ! @ # $ % ^ &
입력 방법:
[m_0A?<55>]는 고유어로 사람 명사나 인칭대명사 앞에 위치해도 되고, 뒤에 위치해도 되지만, 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A?<31>]는 한자 차용어로 사람 명사나 인칭대명사 앞에 위치한다.
출력 결과:
m_0A?<55>는 고유어로 사람 명사나 인칭대명사 앞에 위치해도 되고, 뒤에 위치해도 되지만, 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A?<31>는 한자 차용어로 사람 명사나 인칭대명사 앞에 위치한다.
입력 방법:
-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함. * [z`E<33>] 를 사용할 때는 동사의 바로 뒤에는 어기조사 [Ei?<55>] 이 온다.
출력 결과:
pAi<31> Ei?<55> z\E<33> tiAN<31> Ei?<55>' (달리다 또 뛰다) 달리다 PAR 또 뛰다 PAR
아창어의 격조사는 다음과 같다.
(1) 목적격 조사 t@<33> : 목적어의 유정성이 높으면 필수로 써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선택적이다.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쓰고 그렇지 않으면 생략하여도 된다. 유정정이 낮은 목적어에 t@<33>를 쓰면 강조 하는 역할을 하거나 운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2) 관형격 조사 : Ei?<55>/kA<33>
(3) 부사격 조사
① tsA<33>: 형용사 중첩형 뒤에 쓰여 부사어임을 나타냄.
ts_hA~<33> ts_huA~<33>tsA<33>ts\A<31>
빨리 먹다
빠르다 빠르다 ADV 먹다
② t@<33>: - 처격 표지.
No<31>tuN<33>nAi<31> t@<33> lA?<31> @i?<55> 우린 낮에 간다.
우리 낮 LOC 가다 PAR
비교구문에서 비교 기준과 비교 결과 사이에 쓰임. “~보다“
A<31>nuN<31>A<31>sA<135>t@<33>k@<33>Ei?<55>
남동생이 형(오빠)보다 좋다.
남동생 형/오빠 COM 좋다 PAR
수반격 표지. m_0A?<55>는 고유어로 사람 명사나 인칭대명사 앞에 위치해도 되고, 뒤에 위치해도 되지만, 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ɑʔ31는 한자 차용어로 사람 명사나 인칭대명사 앞에 위치한다.
nAN<33> k_hA<55> z\u?<31> m_0A?<55> lA?<31>
넌 누구랑 가니?
너 누구 COMI 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