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55 근 mə44 마리(새) tsø55 쌍(신발) tɯ44 줄(구슬)
- 일부 전용명량사는 [term:반향류양사]로 앞 명사와 같은 형식을 취한다. 이런 양사는 앞의 명사로부터 온 것이다.
pi42 자루: pi42 thi44 pi42 연필 한 자루
필 하나 필
tso42 채: tso42 thi44 tso42 집 한 채
집 하나 집
▹명사가 단음절일 경우 명사 전체를 양사로 취함. (참조문법)
tso31thi44tso44 집 한 채 `집 한 채
▹명사가 이음절일 경우 어근을 양사로 취하는데, 마지막 음절이 어근인 경우가 많고 첫음절이 어근인 경우는 소수다.(참조문법)
lo31phu44thi44phu44 그릇 한 개 그릇 한 개 ŋjɯ31ɔ33thi44ŋjɯ31 태양 한 개 태양 한 개
▹명사의 첫음절을 양사로 취해도 되고 마지막 음절을 양사로 취해도 되는 경우도 있다.(극소수) (참조문법)
lo31mɔ33thi44lo31 돌 한 덩어리(개) lo31mɔ33thi44mɔ33 돌 한 개 돌 한 개
► 도구명사나 동사를 빌려 양사로 쓰기도 한다. (참조문법)
a33ji44thi44khui44 국 한 숟가락 국 한 숟가락 mi44tsɔ44thi44phi33 땔감 한 짐 땔감 한 업다
thi44khɹɛ42 책상 가득 한 책상
► [term:부정명량사]: thi55 = a33thi55'조금'. 모두 수사 thi44로부터 온 것이며 a33thi55는 형용사 표지 a33이 있어 형용사와 관계가 밀접하다.
xə44 mɛ44 a33 thi55 tsɔ44 밥을 조금 먹다 밥 조금 먹다
thi44 tʃhə33 kø44 한 차 가득 한 차 담다
- la54와 tø44는 모든 동사와 공기할 수 있다. la54는 '下'로 동작이 짧은 시간에 가볍게 일어남을 나타내고 tø44는 '번'으로 동작의 횟수를 나타낸다.(참조문법) thi44la54(klo31) 가볍게 한번 차다 한 下 차다 thi33tø44(le33) 한번 가다 한 번 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