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사 또는 첨사가 동사 어간 뒤에 어떻게 결합하는지 양상을 전반적인 틀을 보여줄 수 있도록.
중국 지역의 언어에 대한 참조 문법의 기술의 경우 형태론보다 단어 부류 또는 첨사로 기술하려는 경향이 있다. 아창어는 SOV 언어이고 동사 뒤에 오는 요소들을 교착어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서구나 일본 등의 학자들의 연구와도 비교하여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첨사로 기술할지 형태론으로 기술할지를 정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 첨사로 기술하더라도 동사에서 첨사가 어떤 식으로 결합하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구조를 설명해 주는 것이 좋다.
현재 참고 문헌에서 첨사가 여러 개 붙는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정보를 찾기는 어렵다. 완벽하지 않더라도 예문 등에서 첨사가 2개 이상 붙는 것이 있다면 소개하는 정도로 할 수 있다.
동사의 형태론 관련하여 여기에 기술한다.
동사의 형태론이 발달한 경우에 태, 시제, 상, 법 등이 형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동사의 형태론 차원에서 이와 관계된 표지들을 기술한다. 한편 태와 관련된 내용은 valency에서 시제, 상, 법과 관련된 내용은 tame에서 다시 기술한다. 이때 valency, tame에서 기술하는 내용은 반드시 형태론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동사의 형태론에서 기술하고 다른 곳에서는 중복되지 않는 주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verb_conjugation
: 활용부류(conjugation)verb_arg
: 일치(agreement). 인덱스(index)verb_fin
: 정형성(finiteness)nonverbal
: 자격법 (nonverbal function of verbal conjugation)nonverbal_cvb
: 부동사 (converb)nonverbal_noun
: 동명사 (verbal noun)nonverbal_ptcp
: 분사 (participle)infinitive
: 부정사